![24일 텍사스의 한 초등학교에서 총기 난사 사건으로 학생과 교사들이 여러 명 사망했다. [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5/bb8cc21c-a37d-49c3-a3e6-66fb8e4153d4.jpg)
24일 텍사스의 한 초등학교에서 총기 난사 사건으로 학생과 교사들이 여러 명 사망했다. [AP=연합뉴스]
18살 고교생, 할머니 쏘고 초교로 향해
수사 당국에 따르면, 총격범 라모스는 이날 오전 자신의 집에서 할머니를 총으로 쏴 중태에 빠뜨린 뒤, 집을 나섰다. 회색 포드 트럭을 몰고 롭초등학교에 도착한 뒤 교실을 돌아다니며 총기를 난사했다. 수사 당국은 총격범이 권총과 AR-15 반자동 소총, 고용량 탄창 등으로 무장한 상태였으며, 오전 11시32분쯤 총격을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
목격자들과 희생자 가족들은 사건 당시 총알이 마구 교실 안으로 날아들면서 유리창이 깨졌고, 순식간에 아비규환이 됐다고 전했다. 일부는 깨진 창문을 통해 필사적 탈출을 했지만, 곳곳에서 총에 맞은 아이들이 피를 흘렸다. 라모스는 경찰이 출동하자 교실에서 바리케이드를 치고 45분간 대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텍사스 주 경찰이 롭초등학교의 정문을 통해 학교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부상자들은 유밸디 메모리얼 병원과 인근 샌안토니오 병원에 긴급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중상자가 많아 사망자는 더 늘 수 있다. 당국은 이번 사건을 라모스의 단독 범행으로 보고, 범행 동기 등을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라모스가 범행 전 소셜미디어에 ‘아이들은 조심하라’는 메시지를 올렸다”고 전했다.
10년 만에 최악의 학교 총기 사건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롭초등학교는 전교생이 600명도 채 안 되며 이중 약 90%가 라틴계다. 2~4학년 학생들만 재학 중이며 이번 사건 희생자 역시 대부분 7~10세로 추정된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현재 총격 사건으로 유밸디의 모든 학교가 폐쇄됐고 학사일정도 중단됐다. 방탄조끼를 입은 경찰관들이 현장에 배치됐고 미국 연방수사국(FBI) 요원들이 출동했다.
이번 사건으로 미국 내 총기 규제 도입을 주장하는 민주당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날 민주당 소속 크리스 머피 상원의원은 국회의사당에서 신속한 총기 규제 도입을 촉구하는 ‘분노의 연설’을 했다. 그는 상원의원들을 향해 “(지난 14일) 버팔로의 수퍼마켓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한지 불과 며칠 만에 또다른 ‘샌디 훅’ 사건이 터졌다”면서 “이런 일은 오직 미국에서만 벌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도대체 어느 나라 아이들이 ‘오늘 내가 학교에서 총에 맞을지 몰라’라는 걱정을 안고 등교한단 말인가”라면서 “이런 일이 반복되는 이유는 우리(상원의원)가 아무 것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일갈했다. 힐러리 클린턴 전 미 국무장관도 트위터에 “우리 아이들을 죽이고 있는 미국의 총기 폭력의 재앙을 막고자 하는 의원들이 필요하다”고 썼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바이든 "총기단체 로비 맞서서 행동할 때"
백악관 도착 직후, 바이든 대통령은 대국민 연설을 통해 “이는 또다른 대학살”이라며 “숨쉬기 힘든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18세 청소년이 총기를 살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면서 강력한 총기 규제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그는 “얼마나 더 많은 학생이 학교에서 전쟁터처럼 친구들이 죽는 것을 봐야 하냐”며 “총기 단체의 로비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상식적인 총기 규제법을 방해하거나 지연시키는 사람을 잊지 않을 것”이라며 “지금은 행동할 때”라고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텍사스 총기 난사 사건에 대해 대국민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미국의 총기 규제법은 10년째 난항 중이다. 민주당이 주도하는 하원은 지난해 3월 총기 구매 제한을 강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민주당과 공화당이 각각 50석씩 점유한 상원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계류 중이다. 공화당의 테드 크루즈 텍사스주 상원의원은 총기 규제에 대한 요구를 거부하며 “준법 시민의 권리를 제한해선 안된다. 이는 범죄 예방효과도 없다”고 주장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