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한낮 최고기온이 30도를 기록하는 등 전국적으로 여름 날씨를 보이고 있는 1일 오후 시민들이 서울광장 분수대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스1
2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월평균 최대전력은 지난해 동월보다 4.5% 증가한 6만6243㎿(메가와트)였다. 이는 2005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5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2018년 5월에 기록한 기존의 동월 최고치(6만4337㎿)를 4년 만에 갈아치웠다.
최대전력은 하루 중 전력사용량이 가장 많은 순간의 전력수요이며, 월평균 최대전력은 한 달 동안 일별 최대전력 합계의 평균값이다. 이 값이 늘었다는 것은 전력 수요가 증가했다는 의미다.
코로나19 여파로 줄곧 감소하던 전력수요가 회복세를 보인 데다 이른 더위까지 찾아오면서 전력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5월에는 전력수요가 연중 최저치를 보이다가 여름이 시작되는 6월부터 늘어나는데 올해는 이미 5월부터 증가세가 시작됐다.
이는 이른 더위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달에는 23~24일 이틀 연속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등 평년보다 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0.7도를 보인 지난달 23일에는 전력 공급예비율이 12.4%까지 떨어져 연중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당일 전력 공급능력은 8만1075㎿였고 최대전력을 뺀 공급예비력은 8953㎿로 1만㎿ 선을 밑돌았다. 전력 공급예비율이 낮아지면 전력수급 불안감이 커지게 된다.
기상청은 지난달 날씨 장기전망 보고서에서 “6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각 40%, 7~8월은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50%”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