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인 1일 오후 선거사무원들이 제주 서귀포시 강창학종합경기장 내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지방선거에서 전국 17개 시·도 교육감 선거에서 나온 무효표는 90만3227표에 이른다. 시·도지사 선거의 무효표를 합친 35만928표보다 약 2.6배 많은 수치다.
특히 가장 많은 후보(6명)가 출마한 서울은 무효표도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서울시교육감 선거 무효표는 서울시장 선거 무효표(3만8242표)보다 5배 이상 많은 21만7449표였다. 후보가 2명이었던 경기교육감 선거에서도 19만6761표의 무효표가 나와 경기도지사 선거 무효표(5만7822표)보다 3배 많았다.
1, 2위 표차보다 무효표가 많았던 경남

박종훈 경남도교육감 당선인이 2일 오전 경남 창원시 의창구에 마련된 선거 사무소에서 당선 축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선거 직전인 지난 23~25일 지상파 방송 3사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서울시교육감 후보 중 지지하는 후보가 없거나 모른다고 답한 응답자가 48.4%에 달했다. 투표소에 도착해서도 누구를 찍을지 결정하지 못한 유권자들의 표가 무효표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무효표가 후보 간 당락을 가르는 표차보다 많은 곳도 있다. 경남에선 진보 성향의 현 교육감 박종훈 후보와 보수 성향 김상권 후보가 0.5%포인트 차이의 초접전을 벌였다. 이들 후보 간 표차는 6750표에 불과한데 무효표는 이보다 7배 많은 4만8594표나 된다.
선거마다 반복되는 교육감 '무효표 폭탄'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이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앞에서 6.1 지방선거 홍보행사를하며 투표용지 7장이 그려진 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교육감 선거에서 무효표가 많은 원인 중 하나는 기호가 없어서다. 예전에는 후보 간 추첨으로 기호를 부여했지만, 상위 번호를 뽑아야 유리한 '로또선거'란 비판을 받자 기호 없이 이름만 표시하고, 이름순서는 선거구별로 다르게 배열하고 있다. 김모(62·서울 성동구)씨는 "선거 때면 1번이나 2번을 뽑으려고 생각하고 가는데, 교육감은 번호가 없어서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러닝메이트제 도입 등 논의해야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이 19일 출정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무효표를 남발하는 깜깜이 선거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수는 “시·도지사와 달리 교육감의 권력은 분산되지 않는다. 교육감 선거에 대한 무관심이 지속되면 교육 정책의 ‘독점’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배 교수는 “시·도지사와의 ‘러닝메이트제’를 도입하는 등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유연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