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에서는 해외입국객에 대한 전수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2/b1df8539-8c5a-407a-9203-6df191a4ce29.jpg)
인천공항에서는 해외입국객에 대한 전수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뉴스1]
질병청은 최근 중앙일보 취재팀이 보낸 '코로나 확진자 중 해외유입 확진자 비율이 0.1% 미만에 불과한데 입국객 전수검역를 계속할 필요가 있느냐'는 질의에 "당분간 전수검역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질병청은 답변서에서 "해외유입 확진자 비율이 낮게 잡히고 있지만, 이는 입국전 PCR(유전자증폭) 검사 등으로 인한 해외유입 감소가 반영된 결과"라며 "사전검사 음성 여부 확인 및 개인별 위험도에 따른 격리자 통보를 위해 전수검역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유입 적은 건 사전검사 덕"
항공업계와 관광업계 등에서 검역 완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지만 방역당국은 당분간 그럴 계획이 없다는 의미인 셈이다. 국제선 증편을 추진하고 있는 국토교통부의 김남균 국제항공과장도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는 질병청 입장엔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질병청 답변 내용.
이 같은 입국객에 대한 전수조사 유지는 곧바로 인천공항에 설정된 야간운항금지시간(커퓨, 오후 8시~오전 5시) 해제와 국제선 증편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방역 편의 위한 인천공항 커퓨
그 시간 동안이라도 입국객을 막아 인력·시설 부족을 메우겠다는 취지였다고 한다. 2년이 지났지만, 검역인력이 여전히 불충분한 탓에 커퓨를 섣불리 풀지 못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방역목적으로 커퓨를 운영하는 건 우리나라뿐이다.
커퓨가 풀리지 않으면 미국과 유럽, 동남아 등으로 가는 항공편을 늘리기 어렵다. 코로나 이전에 40회였던 인천공항의 시간당 착륙횟수는 현재 20회로 제한돼 있다.
![인천공항은 2020년 4월부터 오후 8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돼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2/879ce442-6e45-4dde-b95e-c6af0e286862.jpg)
인천공항은 2020년 4월부터 오후 8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돼있다. [뉴스1]
커퓨 안 풀면 항공료 안 내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해외여행 수요는 급증하고 있지만, 항공편 공급은 턱없이 부족해 항공료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요금이 2배 넘게 오른 노선도 많다.
당초 국토부는 연말까지 국제선 항공편을 코로나 이전의 50% 수준까지 회복하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런 추세라면 목표 달성이 요원할 거란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인천공항은 현재 이용객이 코로나 이전의 10% 수준에 그치고 있다.
![2년만에 공항철도 직통열차가 개통했지만 항공편 공급 부족이 심각해 항공료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2/774c6185-b3c9-4e37-a12e-812f55d8ec24.jpg)
2년만에 공항철도 직통열차가 개통했지만 항공편 공급 부족이 심각해 항공료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뉴스1]
"대통령실이나 총리실 나서야"
LCC 고위 관계자는 "검역인력과 시설부족을 국제선 증편을 막는 거로 메우는 게 말이 되느냐"며 "현재 방역정책은 항공사와 여행객의 희생을 강요하고, 항공업계의 국제적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항공사 관계자는 "유럽과 미주에선 항공편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거의 회복됐다"며 "국토부와 방역당국에만 맡기지 말고 대통령실 또는 총리실이 나서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합리적인 정책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