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째 35초마다 1회 망치질…‘해머링맨’ 20살 생일 맞아

서울 광화문의 랜드마크인 조나단 브로프스키의 ‘해머링 맨’(Hammering Man). [중앙포토]

서울 광화문의 랜드마크인 조나단 브로프스키의 ‘해머링 맨’(Hammering Man). [중앙포토]

서울 광화문의 랜드마크인 ‘해머링 맨’(Hammering Man)이 20번째 생일을 맞았다고 태광그룹 세화예술문화재단이 7일 밝혔다.

2002년 6월 4일 서울 종로구 흥국생명빌딩 옆에 설치돼 있는 해머링 맨은 미국 조각가인 조나단 브로프스키(Jonathan Borofsky)의 연작이다. 해머링 맨은 1979년 미국 뉴욕의 전시회에서 3.4m 크기로 첫 선을 보였다.

이후 해머링 맨 연작은 미국 시애틀·댈러스·캘리포니아·미니애폴리스·개인스빌·로스앤젤레스(LA), 독일 프랑크푸르트, 스위스 바젤, 노르웨이 릴레스톰, 일본 나고야 등에 설치됐다.

총 11개 도시에 설치된 시리즈 중 광화문에 있는 해머링 맨이 키 22m에 무게 50t(톤)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체급이다.  

해머링 맨은 평일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하절기 기준)까지 35초마다 1회씩 망치질을 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망치질을 하지 않는다. 주 5일 근무인 셈.  


해머링 맨은 목을 구부린 채 오른손에 있는 망치를 아래로 조심스럽게 천천히 내리치기를 반복한다. 매일 끊임없이 일을 하는 모습이 인간의 모습과 닮았다.

세계 도시의 공공장소나 빌딩 앞 조형물을 설치하는 조각가 조나단 브로프스키는 어린 시절 음악가인 아버지가 들려주었던 친절한 거인 이야기에서 해머링 맨의 영감을 얻었다.  

해머링 맨은 1976년 튀니지의 구두 수선공이 망치질하는 모습을 찍은 사진을 토대로 설계한 것이라고 한다.  

세화예술문화재단은 20살 생일을 맞은 해머링 맨을 위해 문화 이벤트를 진행한다. .

세화미술관이 운영하는 SNS 계정에 해머링 맨의 생일 축하 메시지를 남기면 소정의 기념품을 제공한다.

‘해머링 맨’(Hammering Man). [중앙포토]

‘해머링 맨’(Hammering Man). [중앙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