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 정모(25)씨는 스물다섯 번째 생일을 하루 앞두고 SNS에 이런 글을 올렸다. 선물을 맡겨놓은 것도 아닌데 먼저 생일을 알리는 게 주저되기도 했다고 한다. 걱정과 달리 정씨는 이번 생일, 예년보다 더 많은 축하를 받았다. 오랫동안 연락하지 않았거나 평소 생일을 챙겨주지 않던 친구들도 기부를 계기로 축하 메시지를 보내 왔다.
45명의 친구가 십시일반 보낸 돈은 88만원이었다. 정씨는 여기에 자신의 돈 12만원을 보태 동물권 단체에 100만원을 기부했다.
선물은 거부합니다, 기부는 환영합니다
![정모(25)씨는 생일을 맞아 선물 대신 '생일 기부'를 계획했다. 45명의 친구들이 보낸 돈이 88만원이었다. 정씨는 생일날 자신의 돈을 보태 100만원을 동물권 단체에 기부했다. [정씨 인스타그램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13/31e39818-0b0e-4053-97a4-e2f0f17df4f5.jpg)
정모(25)씨는 생일을 맞아 선물 대신 '생일 기부'를 계획했다. 45명의 친구들이 보낸 돈이 88만원이었다. 정씨는 생일날 자신의 돈을 보태 100만원을 동물권 단체에 기부했다. [정씨 인스타그램 캡처]
MZ세대 사이에서 ‘생일 기부’ 문화가 퍼지고 있다. 생일을 앞두고 SNS에 기부하고 싶은 단체에 대한 소개 글과 해당 기부처를 선택한 이유 등을 밝히는 식이다. 이후 생일날 모은 돈으로 기부한 뒤 내역을 공개하는 것으로 생일선물을 대체하는 것이다.
684만원. 군 복무 중인 권순호(24)씨가 성인이 된 뒤 진행한 6번의 생일 모금을 통해 모은 돈이다. 기부처는 해양 환경단체부터 우간다 보육원까지 매년 다양하다. 그는 “돈을 버는 것을 넘어 가치 있는 무언가를 남기고 싶고, 누군가를 돕는 삶을 살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권순호(24)씨가 지난 8일 생일 파티에서 활짝 웃어 보이고 있다. 권씨는 지난 2017년 성인이 된 이래로 매년 생일마다 생일선물 대신 기부금을 받아 기부해 왔다. [권씨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13/a19c8f6a-5394-4cd8-8f90-05313f8023a3.jpg)
권순호(24)씨가 지난 8일 생일 파티에서 활짝 웃어 보이고 있다. 권씨는 지난 2017년 성인이 된 이래로 매년 생일마다 생일선물 대신 기부금을 받아 기부해 왔다. [권씨 제공]
정씨는 “나 때문에 물건이 생기고 버려지는 게 싫어 생일 기부를 시작했다”고 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가 보편화하면서 정씨의 생일 때마다 엄청난 택배 쓰레기가 나왔고, 인테리어 용품처럼 필요하지 않은 걸 선물 받으면 그 또한 쓰레기가 됐다. 처음으로 쓰레기 없이 맞은 이번 생일에 정씨는 “그 어느 생일보다 걱정 없이 기쁘고 뿌듯했으며 순수하게 행복했다”고 말한다.
영미권을 중심으로 ‘생일 기부(Birthday Fundraising)’는 보편적인 문화다. 이런 움직임이 한국으로 유입돼 확산하는 추세다. 실제로 기부자들은 책 『연필 하나로 가슴 뛰는 세계를 만나다』, 영화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등에 소개된 해외 사례를 통해 생일 기부의 개념을 처음 접했다고 말했다.
“네 생일 덕에 기부했어, 고마워”
![권순호(24)씨는 24번째 생일을 맞아 모금액을 모아 노인빈곤 해결을 위한 단체에 기부했다 [권씨 인스타그램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13/e1edad9c-f085-45eb-a6fe-0a809729bef8.jpg)
권순호(24)씨는 24번째 생일을 맞아 모금액을 모아 노인빈곤 해결을 위한 단체에 기부했다 [권씨 인스타그램 캡처]
권씨는 "대부분 사람이 기부를 하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어디에 해야 할지는 몰라서 그런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친구들로부터 ‘이런 기회를 만들어줘서 너무 고맙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고 말한다. 권씨를 따라 생일 기부를 선택하는 친구들도 생겼다. 권씨는 "선의의 도미노란 희열을 느꼈다"고 했다.
기부처 정하기 위해 공부하고 사회에 귀 기울여
![최경헌(24)씨는 지난 2월 자신의 생일에 생일선물 대신 기부금을 받아 백신 공동구매·배분 단체 코백스(COVAX)에 기부했다. 그는 ″선물도 의미가 있지만 마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축하의 마음과 내 의지를 합쳐 좋은 일에 이바지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최씨 인스타그램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13/26cfbcb1-3b77-4049-bcd9-352c11e3a689.jpg)
최경헌(24)씨는 지난 2월 자신의 생일에 생일선물 대신 기부금을 받아 백신 공동구매·배분 단체 코백스(COVAX)에 기부했다. 그는 ″선물도 의미가 있지만 마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축하의 마음과 내 의지를 합쳐 좋은 일에 이바지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최씨 인스타그램 캡처]
지인을 따라 지난 2월 생일 모금을 시작한 최경헌(24)씨는 “살면서 많은 사회 문제를 만난다. 생일을 기회로 의미 있는 일에 이바지하는 건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 같다”고 했다. 그는 백신 수급 불평등 문제에 문제를 느껴 생일에 모은 75만원을 코백스(COVAX)에 기부했다. 내년에는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단체에 기부할 예정이라고 한다.
“더 재미있고 적극적으로 기부하는 게 MZ 특성”
![더브릿지의 '이벤트 기부'에 올라온 생일 기부 이벤트들. [더브릿지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13/ce29fa58-7f93-45bf-9b54-d8adb42b311b.jpg)
더브릿지의 '이벤트 기부'에 올라온 생일 기부 이벤트들. [더브릿지 캡처]
‘이벤트 기부’ 기능을 제공하는 사단법인 더브릿지 관계자는 “MZ세대는 기성세대와 달리 ‘한 달에 몇만 원 정기 기부’와 같은 수동적 기부보다 1000원을 쓰더라도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기부를 하고 싶은 의지가 강하다”며 “선한 영향력을 더 재미있고 적극적으로 확산시키고 싶어하는 MZ세대들의 특성을 반영해서 비영리단체들도 생일 기부 기능을 만드는 추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