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대출금 갚는데 월급 70% 쓴다…대출금리 7% 공포

기자
김원 기자 사진 김원 기자
서울시 전용 84㎡ 주담대 산환액 전망. [직방]

서울시 전용 84㎡ 주담대 산환액 전망. [직방]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져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연 7%로 오르면 서울 전용면적 84㎡인 중형 아파트의 월 상환액이 도시 근로자가구 평균 가처분소득의 70%에 근접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주담대 금리는 연 3.9%로, 지난해 4월 대비 1년 만에 1.17%P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의 월평균 대출 상환액은 지난 4월 기준 194만원으로 전용 59㎡는 178만원, 84㎡는 209만원인 것으로 산출됐다. 이는 지난해 4월과 비교해 전체 평균은 33만원, 전용 59㎡는 35만원, 전용 84㎡는 40만원 각각 오른 것이다. 

서울 전용 59㎡ 소형 아파트의 올해 평균 매매가격은 9억 4604만원이며, LTV 상한까지 주담대를 받을 때 대출 최대한도는 3억6921만원이다. 서울 전용 84㎡는 올해 평균 매매가격은 12억8582만원이며, 대출 최대한도는 4억3716만원이다.

향후 미국발 금리 인상으로 인해 국내 시중은행의 주담대 금리가 올해 안으로 연 7%까지도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등의 데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이렇다. 

전용면적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기준으로 대출 기간 30년, 비거치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LTV(주택담보인정비율) 규제 상한선까지 주담대를 실행할 경우 대출 금리가 7%로 오르면 서울 아파트의 월평균 대출 상환액이 전용 59㎡는 68만원(178만→246만원), 전용 84㎡는 82만원(209만→291만원) 오를 전망이다. 


[직방]

[직방]

 
통계청에서 전국 단위로 분기마다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에 의하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363만원이었으며, 이 가운데 도시 근로자가구의 경우 약 419만원이었다. 지난해 전국 도시 근로자가구 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서울 아파트 월 주담대 상환액 비율은 금리가 연 4%일 때 평균 45%를 차지했다. 그러나 금리가 연 7%까지 상승할 경우 월 주담대 상환액의 비율은 평균 소득의 62%로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용 59㎡의 경우 해당 비율이 59%로 평균 소득의 절반을 초과하고, 전용 84㎡는 69%로 계산됐다. 

이처럼 향후 금리 인상이 계속되면 현재의 소득 수준 대비 대출 이자 비용이 가계에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는 아파트 구매력의 저하로 이어지고, 수요가 감소하면서 거래 침체로 연결될 수 있다. 수요 감소에 따라 가격이 내려갈 가능성도 있다.

직방은 "저금리 시장 기준으로 세웠던 주택 구매 계획과 그에 따른 가계 재무 구조를 금리 인상 시기에 맞춰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장기간 저금리 기조가 유지됐던 시장과는 다른 상황이 예상되는 만큼 금리 인상이라는 시장 변화에 맞춰 소득과 그에 맞는 금융 비용 상환 계획을 살피는 등 신중한 투자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