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1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 컨벤션 센터에서 3년 만에 대면으로 바이오 전시회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 열렸다. 최은경 기자
#2. 같은 날 행사장의 또 다른 부스인 한국관. 멕시코 바이오 회사 대표인 산티아고 요만스는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인 LSK글로벌파마서비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싶다며 상담 중이었다. 이 회사 허진희 팀장은 “생각보다 방문객 명함이 많이 쌓였다”며 “한국 진출을 원하는 해외 바이오 회사가 코트라(KOTRA)를 통해 연락해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코트라와 한국바이오협회가 운영하는 이곳에서는 강스템바이오텍·스탠다임 등 12개 바이오 회사가 잠재 고객사를 맞았다.

13~1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바이오 전시회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행사장으로 가는 길에 삼성바이오로직스 홍보 배너가 걸려 있다. 최은경 기자
방문객 명함 쌓이는 한국관 부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행사에 단독 부스 중 가장 큰 규모(140㎡)로 참가했다.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경쟁하는 미국 캐털란트 관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우리의 주요 경쟁자”라며 “인천 송도의 바이오 클러스터 역시 인정할만하다”고 평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스는 14일에도 가장 북적이는 곳 중 하나였다.
이달 7일 출범한 롯데바이오로직스도 바이오USA에 참여했다. 이 회사는 참가 여부가 불투명했지만 위약금을 물 각오로 부스를 확보했다. 그만큼 글로벌 데뷔에 적극적이었다. 그 배경에는 그룹의 전폭적 지지가 있었다. 행사장을 찾은 이훈기 롯데지주 ESG경영혁신실장은 “바이오 사업을 키우기 위해 식품·화학·유통·호텔 등 기존 사업 중 유망하지 않은 사업을 매각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13~1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 컨벤션 센터에서 바이오 전시회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 열렸다. 12개 한국 바이오 회사가 참여한 한국관에서 방문객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최은경 기자
롯데·GS·현중·CJ 등 잇따라 바이오 진출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는 “과거에도 대기업들이 바이오에 진출했지만 몇몇 회사를 제외하곤 성과가 없었다”며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이 가시적 성과를 내면서 패러다임이 바뀐 것 같다”고 말했다. 과거 한화·CJ·롯데 등이 발을 담갔지만 도중에 사업을 접는 등 성공 사례가 없어 바이오 분야는 ‘대기업의 무덤’이라 불렸다. 선 투자 후, 성과를 내기까지 오래 기다려야 하는 데다 리스크도 커서다. 하지만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세계 1위에 오르고, 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으로 실적 개선을 이루는 등 수익 창출 사례가 나오기 시작했다.
후지필름 등 일본 화학회사도 신사업 낙점

그래픽=전유진 yuki@joongang.co.kr

그래픽=전유진 yuki@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