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고물가에 공공요금까지 올리는 게 부담이라는 물가 당국과, 그동안 요금을 충분히 올리지 못해 이제는 올려야 한다는 에너지 당국 간의 논의가 길어졌기 때문이다.

20일 세종시 장군면의 한 다세대 주택 주민이 전기계량기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
현재 전기요금에는 연료비 연동제를 적용해 국제유가 등 연료 비용이 커지면 전기료도 따라 오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한 2020년 1분기 이후 6개 분기 동안의 조정에서 문재인 정부는 4차례 동결 결정을 내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국민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결국 전기료를 올려야 할 때 올리지 못하면서 한전은 올 1분기 7조8000억원이라는 기록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하게 됐다.
“가구당 월 1000원 올라…감당 가능해”
![한전 영업이익과 국제유가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전력]](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20/b492bee0-bcea-47ed-9787-dcb7844b8cd7.jpg)
한전 영업이익과 국제유가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전력]
익명을 요청한 산업부 관계자는 “월 1000원가량 늘어나는 것은 가계도 충분히 감당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시각이 있다”며 “그렇다고 한꺼번에 1만500~1만4000원(㎾h당 30~40원 인상할 경우)씩 늘어나는 것은 당연히 큰 부담이기 때문에 타협점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반대로 기획재정부는 한전이 요구한 인상 수준이 과도하다고 보고 있다. 이날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한전이 애초부터 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안을 제시했어야 했는데,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며 “한전의 여러 자구 노력에 대해 점검하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전과 산업부가 요구한 인상 수준이 과도하고, 한전의 자체적인 경영 개선을 통해 손실을 최대한 흡수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물가 우려…“한전 왜 이 모양 됐나”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기획재정부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전기요금의 공급 원가를 낮추기가 어려운 상황에 최소한으로 인상하겠다는 정부 방침은 바람직하다”면서 “여러 차례에 걸쳐 나눠 올려서 과도하게 빠른 인상을 자제하고, 아울러 한전에 재정 투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우 교수는 “부동산 매각 등을 포함한 한전의 자구책은 당장 급하게 하기보다 향후 경기가 개선됐을 때 추진하는 것이 실효성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앞서 한전은 해외 발전소와 부동산 자산 매각 등을 통해 6조원 이상의 재무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전은 올 1분기 7조7869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창립 이래 최악의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연간 5조8601억원의 적자를 봤다. 증권가에선 올해 한전의 적자가 30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