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까지 2년 더 연장

렌터카로 가득 들어차는 제주도 성산일출봉 주차장. 최충일 기자
제주도는 23일 “총량제를 연장하기로 잠정 결정했다"며 "다음 달 초까지 ‘자동차 대여사업 수급조절 위원회’를 열어 적정대수를 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주도 관계자는 “적정 대수를 결정한 다음 정책자금 지원 확대 등 인센티브를 통해 자율 감차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렌터카총량제는 교통체증과 주차난 등을 해소하기 위해 2018년 처음 도입됐다. 렌터카 신규 등록과 증차를 제한하고, 자율 감차를 추진하는 등의 방식이다. 이 제도는 2년 단위로 시행해 왔다. 지금까지 두 차례 이어진 계획이 4년만인 다음달 20일 종료된다. 제주도는 이번에도 교통체증 해소와 환경 보호 등을 내세워 연장하기로 했다.

제주시청 공무원이 기존 렌터카에 부착된 번호판을 떼고 있다. 최충일 기자
피서철 렌터카 바가지 요금 논란 불러와
제주 렌터카 요금은 관광객이 몰리는 여름 휴가철 등에 급등해 바가지요금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때마다 렌터카총량제도 도마위에 올랐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이어지는 극성수기 기간에 제주도 내 중형 승용차(2000cc급) 렌터카 평균 대여 비용은 24시간 당 17~21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비성수기 기간(10만원선)보다 두 배 가까이 오른 가격이다.
이 바람에 차를 배에 싣고 가는 관광객도 늘고 있다. 차를 배에 싣고 인천과 제주를 오가는 유일한 여객선인 ‘비욘드 트러스트호’ 승선객 수는 지난 5월 4133명, 6월 5940명으로 늘었고 지난달엔 7009명으로 급증했다. 재취항 전엔 3000명대였다. 승합차 등 화물 선적도 6월에 1만 7194t을 기록했고 지난달엔 2만t을 넘어섰다.

지난 9일 낮 12시 제주시 모 렌터카 차고지에서 관광객들을 기다리고 있는 렌터카들. 최충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