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6일 전북 김제시 농업인교육문화지원센터에서 가진 농민단체 대표들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둘러싼 검·경수사를 두고 민주당이 “야당 탄압이자 정치 보복”이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 국민 절반은 공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창간 57주년을 맞아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16~17일)에서 “이 대표 수사가 야당 탄압 및 정치 보복이라는 주장에 얼마나 공감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50.7%는 ‘공감하지 않는다’, 43.0%는 ‘공감한다’고 답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세부 응답 내용으론 ‘(정치 보복 주장에)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3.7%로 가장 많았고, ‘매우 공감한다’(25.4%)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어느 정도 공감한다’는 17.6%, ‘별로 공감하지 않는다’는 17.0%였다.
응답은 지지정당·연령별로 크게 엇갈렸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80.0%가 ‘이 대표 수사는 정치 보복’ 주장에 공감하지 않았고, 단 16.0%만 공감했다. 반대로 민주당 지지층의 72.8%는 ’정치 보복’ 주장에 공감했고, 22.9%만이 ‘공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40대의 60.2%가 ‘정치 보복’ 주장에 공감대를 나타냈고, 18~29세와 60대 이상에선 각각 50.4%와 61.5%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건희 특검법엔 ‘동의한다’ 59.8%…‘동의하지 않는다’ 34.2%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사진은 지난달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한 모습. 뉴시스
민주당이 추진 중인 김건희 여사 특검법 시행에는 응답자의 59.8%가 ‘동의한다’고 밝혔다.(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이 가운데 ‘매우 동의한다’는 응답은 41.8%, ‘어느 정도 동의한다’는 18.1%였다. 반면,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20.6%)라거나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13.7%) 같은 반대 취지 답변은 34.2%였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국민의힘의 비상대책위원회 전환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당 대표직 박탈에 대해선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응답자의 54.7%가 ‘비대위 전환은 이 전 대표를 끌어내리기 위한 정략적 결정’이라고 답했고, 35.1%가 ‘대표직 박탈은 성접대 무마 의혹으로 인한 개인의 잘못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대통령실 개편 ‘충분하지 않다’ 63.7%…尹 국정지지도 33.2%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번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33.2%로, 부정 평가(64.4%)의 절반 수준이었다. 부정 평가는 ‘매우 잘못하고 있다’ 38.6%, ‘잘못하고 있는 편이다’ 25.7%로 강한 부정 의견 비율이 높았다. 반면, 긍정 평가 중엔 ‘매우 잘하고 있다’ 10.5%, ‘잘하고 있는 편이다’ 22.7%로 상대적으로 느슨한 지지 의견이 많았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 36.5%, 민주당 38.2%로 오차범위 내 경합 양상을 보였다. 정의당은 4.6%, 그 외 정당은 0.5%였으며, 응답자의 17.9%는 ‘지지정당이 없다’고 답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2022년 9월 16~17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3.8%이며 2022년 8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