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화 단계에서 지출한 개발비는 국제회계기준이 정한 6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재무제표 상 자산으로 반영할 수 있다. 셔터스톡
제약·바이오회사의 의약품 연구개발비는 통상 비용으로 처리하지만, 국제회계기준(K-IFRS)이 정한 6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면 공장이나 기계장치처럼 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렉키로나처럼 시장성을 상실하거나, 임상 시험에 실패하면 곧바로 손실 폭탄으로 돌변한다. 박동흠 엔터밸류 대표 회계사는 "글로벌 제약회사들은 식약당국의 판매 승인 이후에 발생하는 개발비만 자산으로 인식한다"며 "국내처럼 개발 단계에서 무리하게 자산으로 분류하게 되면 손상 가능성도 큰 만큼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산화 요건 완화한 새 제약·바이오 감독지침
자산화 개발비 클수록 손실 '폭탄' 부메랑
금감원에 따르면 신약은 임상 3상 이후 절반가량(50%), 바이오시밀러는 임상 1상 이후 60%가량이 식약당국의 최종 승인을 통과한다. 나머지는 모두 실패할 수 있다는 의미다. 새 감독지침대로 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는 개발비 규모가 커지면 개발 실패에 따른 손실 부담도 그만큼 커진다.

제약·바이오 회사의 개발비 자산은, 의약품 개발에 실패할 경우 한꺼번에 손실 폭탄으로 돌변할 수 있다. 셔터스톡
새 지침은 또 이미 한 국가에 판매 중인 의약품을 다른 나라 식약당국에 추가로 판매 승인을 요청한 경우, 이때 지출하는 개발비는 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이 역시 다른 나라 식약당국이 승인을 해주지 않으면 손실처리 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의약품 원료 등 창고에 있는 재고자산도 다른 의약품 개발에 활용되면 재고자산 매입 비용 등을 개발비 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 부분도 향후 투자자들이 눈여겨볼 대목이다. 재고자산은 생산 제품의 시장 가격이 하락하거나, 더 이상 팔리지 않게 되면 재고자산평가손실로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손실을 반영하지 않고 다른 약품 개발에 쓰인다는 이유를 들어 다시 자산으로 분류하면 자산 규모가 부풀려질 수 있다.
지침 문구에 오해 유발 요소…당국 "추가 설명할 것"
또 개발비를 자산으로 분류하려면 기술적 실현 가능성뿐만 아니라 IFRS에서 정한 6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지만, 지침에는 '기술적 실현 가능성' 항목만 나와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임상 1상 전 자산화는 바이오시밀러에만 해당하고, IFRS의 6가지 요건을 모두 갖춰야만 개발비를 자산화할 수 있다"며 "오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추가 설명 자료를 배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금융당국은 제약업계가 분식회계 처벌 우려로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회계처리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가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안을 중심으로 새 감독지침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이한상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는 "그동안 국내 제약·바이오 회사들은 개발비를 자산으로 과도하게 인식해 투자자에 혼란을 주는 문제가 많았다"며 "정부가 기업의 애로 사항을 해결해 주겠다는 명분으로 지침을 개정한 건 이런 현실을 외면한 '탁상행정'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