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한 시민이 검사를 받고 있다. 뉴스1
유행 안정세, 국민 면역 수준 높아져

5일 서울 광화문광장 버스정류장에서 한 시민이 버스에서 내리며 마스크를 벗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주요 국가들의 경우 확진자 격리 의무를 두지 않는 곳이 더 많다. 지난 13일 기준 확진자 7일 격리는 한국과 아일랜드, 벨기에, 튀르키예, 라트비아, 체코, 뉴질랜드, 코스타리카,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만 의무로 남아있다. 그리스나 이탈리아, 슬로바키아, 이스라엘은 격리 의무가 5일 이내이고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독일, 스페인, 프랑스, 싱가포르 등 대부분 국가는 격리 의무가 없거나 권고 수준이다.
“조만간 격리 단축해도 무리 없어”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위원장은 “유행 상황을 보면 조만간 확진자 격리 의무를 5일로 줄여도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본다. 병독성이 많이 약해졌고 백신과 치료제도 준비가 다 돼 있다”고 설명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면역 수준이 높아져서 충분히 (격리 단축이) 가능하다”며 “다만, 아프면 쉴 권리나 코로나19 감염 시 정부 지원 등과 관련된 조정이 필요해 한 번에 다 없애는 것보다 단계적 완화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기관과 감염 취약시설 내 마스크 의무 착용 조치는 원내 감염 확산 가능성을 고려해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오는 27일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회의에서 이런 조정안에 대해 자문을 구한 뒤 이르면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일상회복 로드맵을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