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보금자리프로젝트 대표인 최태규 수의사는 28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동물한테 반항했다, 싸웠다, 심지어는 삐졌다고 얘기들 하는데 잘못된 의인화의 전형적인 예"라며 "예컨대 동물이 무서워서 일상적인 행동을 못 하는 상황을 두고 '삐졌다'라는 표현을 하면 삐진 주체인 동물을 탓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탈출한 얼룩말 세로가서울 광진구 구의동 주택가에서 포착됐다. 독자 제공
최 수의사는 "(세로가 탈출 전 캥거루와 싸우고 울타리를 부수는 등 행동을) 귀여워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 관점"이라며 "귀여운 것은 어쩔 수 없기도 하지만 사실은 동물이 굉장히 고통스러워하는 장면인데 그것을 보고 귀여워하는 것은 동물의 입장에서는 억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얼룩말 세로가 서울어린이대공원 복귀 후 시무룩해져서 당근 간식을 거부하고 있다는 후일담이 전해졌다. 사진 JTBC 캡처
최 수의사는 "(세로가) 탈출한 이유는 명확하다. 울타리가 부서졌기 때문에 탈출한 것이고 집에서 기르는 개나 고양이도 문 열어놓으면 나간다"면서 "이게 스트레스가 심해서 나가는 것도 아니고 자유를 찾아서 나가는 것도 아니고 갈 수 있는 곳이기 때문에 가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거를 얼룩말의 스트레스나 복지 때문에 탈출했다고 보는 건 진단을 잘못했다고 보는 입장"이라며 "울타리가 제대로 돼 있으면 아무리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나가지 못한다"고 말했다.
대공원 측이 세로의 안정을 위해 암컷 얼룩말을 데려오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탈출의 대안이 될 수 없다"며 "얼룩말은 무리생활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를 맺을 대상이 꼭 필요하지만, 이 종의 사회적 구성은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야생에서의 얼룩말은 무리가 지속해서 이합집산하는데 암수가 같이 있기도 하지만 우리 안에 수컷만 이루는 경우도 있다"며 "(세로가) 무리의 구성원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인간이 의도적으로 데려온 암컷이 세로를 만족시킬 것이라는 기대가 실패할 때는 (오히려) 사이가 좋지 않은 얼룩말이 두 마리로 늘어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23일 오후 서울 광진구 자양동 주택가에서 경찰·소방과 어린이대공원 관계자들이 탈출한 얼룩말 포획을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보전이나 연구도 굉장히 전문적이고 폐쇄적인 분야라 얼마나 정당성을 갖는지 대중들이 판단하기 어렵다"며 "장차 정당성이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면, 동물원을 장기적으로 없애는 것도 우리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