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서울의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물건을 구매하는 모습. 뉴스1
물가 상승률이 4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3.3%까지 떨어졌다. 석유류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전체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고 지난해 상반기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른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13(2020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 올랐다. 2021년 10월(3.2%) 이후로 19개월 만의 가장 낮은 수치다.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2월 5.0%에서 올해 1월 5.2%로 소폭 상승한 뒤 2월 4.8%, 3월 4.2%, 4월 3.7% 등으로 점점 낮아지고 있다.
여기엔 석유류의 가격 하락세가 영향을 미쳤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18.0% 내렸다. 2020년 5월(-18.5%) 이후 3년 만의 최대 감소 폭이다. 전체 물가상승률에 대한 석유류의 기여도는 -0.99%포인트로 전달(-0.90%포인트)보다 ‘마이너스’ 폭이 더 커졌다. 석유류가 물가상승률을 1%포인트가량 떨어뜨렸다는 뜻이다.
농·축·수산물도 지난해 동월 대비 0.3% 하락하면서 물가상승률을 0.03%포인트 낮추는 요인이 됐다.
반면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23.2% 올랐다. 전기요금 인상 등과 맞물려 전달(23.7%)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20%대 급등세를 이어갔다. 특히 지난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가스 요금은 전년보다 3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물가도 비교적 큰 폭 올랐다. 외식 가격은 6.9% 상승하면서 물가상승률을 0.90%포인트 끌어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