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의심자 970명 중 공인중개사·중개보조원이 414명으로 전체의 42.7%를 차지했다. 이어 임대인(264명), 건축주(161명), 분양·컨설팅업자(72명) 순이었다.
국토부가 수사 의뢰한 거래의 보증금 규모는 2445억원으로 가구당 평균 1억8000만원이었다. 지역별로 서울 강서구가 835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 화성(238억원)과 인천 부평(211억원)·미추홀(205억원)에서 피해가 컸다.
또 피해 임차인 588명 중 절반 이상이 20·30대 청년층으로 파악됐다. 20대가 82명(14.7%), 30대는 260명(46.6%)으로 20·30대 비중이 61.3%를 차지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전세사기 피해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건축주와 분양업자가 공모해 임차인을 모집한 후 ‘바지’ 임대인이 건물을 통으로 매수한 경우, 오피스텔 등을 매수하면서 거래대금 전부를 임차인으로부터 조달하는 경우(무자본 갭투자), 부동산컨설팅 업자가 매도인에게 접근해 ‘업계약서’를 쓴 뒤 거래대금 전부를 임차인으로부터 조달하도록 하고 본인이 차액을 챙기는 방식 등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인공지능과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해 공인중개사·임대인 등의 연결 고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세사기 위험을 감지하는 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하반기 중 전세사기 의심 거래 분석 대상을 4만건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경찰청은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간 전국에서 전세사기 사범 2895명을 검거했으며, 이 중 288명이 구속됐다고 밝혔다. 수사과정에서 확인된 피해자는 2996명, 피해 금액은 4599억원이다.
앞서 지난 1월 대검찰청・경찰청・국토부는 전세사기 대응 협의회를 구축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전세사기 범죄에 대응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