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덕도신공항 예정부지인 부산 강서구 가덕도 대항마을 일대 전경. 송봉근 기자
가덕도신공항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나 일정 재조정 주장 등이 정치권에선 사실상 ‘금기어’처럼 인식되는 상황에서 나온 일정 재조정 주장은 이례적이란 평가다.
염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토교통위원회)은 9일 입장문을 통해 “정부에서 부산의 엑스포 유치를 명분으로 개항 일정을 무리하게 잡아놓고는 유치 실패 이후에도 기존 일정을 고집한 탓에 지금의 파행을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입찰 과정에서부터 공사 기간이 부족하다는 민간 건설사의 검토 결과가 제출됐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무리하게 2029년 개항을 고수해 설계를 밀어붙였다”며 “이는 정부가 민간에 책임을 떠넘기며 실패를 자초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염태영 의원이 지난해 10월 부산시청 국감에서 질의하고 있다. 뉴스1
앞서 국토교통부는 전날인 8일 현대건설과 맺어 온 가덕도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 수의계약 절차를 중단하는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당초 입찰조건(공사 기간 84개월)보다 긴 108개월로 기본설계를 제출했던 현대건설이 국토부의 수정 요구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현대건설은 국토부의 수정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바닷속 연약지반의 안정화 기간에 17개월이 추가되고, 공사 순서를 바꾸는 데 7개월이 더 필요해 총 24개월이 추가로 소요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국토부는 현재로썬 현대건설의 기본설계와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을 토대로 후속 사업자 모집 등 일정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염 의원은 “또다시 입찰과정을 거치면 이전처럼 유찰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고, 적어도 1년 이상은 지연될 게 불을 보듯 뻔하다”며 “이는 단순한 일정 지연이 아닌, 차기 정부에 심각한 정책적·재정적 부담을 떠안기는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금이라도 무리한 일정으로 추진을 강제하지 말고, 안전성과 실현 가능성에 기반해 공항 건설 일정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