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에서 컨테이너 상·하역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한국이 대외 거래로 올린 수입을 뜻하는 경상수지가 지난 4월 7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번 적자는 한 달 만의 마이너스 전환이다. 한편 상품수지는 5억8000만달러 흑자를 내면서 7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뉴스1
9일 한은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4월 경상수지는 7억9000만 달러 적자였다. 지난 1월(-42억1000만 달러)과 2월(-5억2000만 달러) 11년 만에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이후 3월(1억6000만 달러) 힘겹게 흑자로 올라섰지만 4월 다시 내려앉았다. 경상수지는 무역ㆍ서비스ㆍ소득 부문을 통틀어 얼마나 벌었거나(흑자) 잃었는지(적자)를 나타내는 지표다. 한 나라의 ‘실수입’을 보여주기 때문에 국가별 기초체력을 따질 때 중요한 잣대가 된다.
경상수지가 다시 적자로 돌아선 건 세부 항목 중 본원소득수지가 3월 36억5000만 달러 흑자에서 4월 9000만 달러 적자로 전환한 영향이 크다. 본원소득수지는 국경을 오간 임금과 배당ㆍ이자 같은 투자 소득을 망라한다. 통상 4월은 국내 기업이 외국인 투자자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시기라 본원소득수지 적자 규모가 커진다. 한은은 이번엔 비교적 선방한 편이라고 평가했다.
이동원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본원소득수지 적자 규모(-9000만 달러)는 직전 8개년도 4월 평균치(-36억9000만 달러)에 비해 큰 폭으로 축소됐다”며 “국내 기업의 실적 부진으로 배당 지급 규모는 소폭 줄어든 데다, 최근 (해외 현지법인이 국내로 들여오는) 배당 수입 증가세는 지속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가 올해부터 해외 자회사가 거둬들인 이익을 국내 본사에 배당할 때 현지에서 세금을 내면 국내에서 또 과세하지 않도록 법인세를 개편한 영향도 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서비스수지는 12억1000만 달러 적자지만, 3월(-19억 달러)에 비해 폭이 줄었다. 세부 항목을 들여다보면 여행수지 적자 폭(-5억 달러)이 3월(-7억4000만 달러)보단 축소됐다. 전월 대비 4월 출국자 수는 2만5000명 늘었지만, 외국인 입국자 수는 8만8000명으로 더 많았던 영향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운송수지는 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이 부장은 “지난달 하루 평균 수출액(조업일수 영향 배제)이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 24억 달러대를 회복했고, 반도체 수출 물량의 감소율(전년 동월 대비)이 올해 초 10%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0.3% 정도까지 올라왔다”며 “5~6월에는 상품수지를 중심으로 경상수지 개선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고, 하반기에는 본격적으로 회복해 흑자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