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로구 KT광화문 사옥 모습. 사진 연합뉴스
KT가 ‘CEO의 자격’과 ‘CEO 뽑는 법’을 바꿨다. 대표이사 요건에서 ‘정보통신 분야 전문성’을 빼고, 대표 선임에서 사외이사 권한을 늘리는 식으로 정관도 바꾼다. 9일 KT는 이같은 내용의 지배구조 개선안과 새로운 사외이사 후보자 7인의 명단을 확정했다고 공시했다. KT는 지난 3월부터 대표 공석으로 비상경영체제를 이어오고 있다.
KT 대표 되는 법, 뭐가 달라졌나
CEO 자격 요건에서는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적 지식·경험’이 빠졌다. 새로운 요건은 ‘기업경영 전문성,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역량, 산업 전문성’의 네 가지다. 전문성을 따져볼 영역을 ‘정보통신(ICT) 분야’로 좁히지 않겠다는 얘기다. 지난 2월 차기 CEO 공개경쟁 모집 자기소개서에 있던 ‘정보통신분야 관련 경력을 기술하라’는 항목도 삭제됐다. 그간 KT는 “외부 낙하산이 대표로 오기 어렵다”라고 주장하며 해당 항목을 근거로 내세워 왔다.
익명을 요구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탈통신이 강조된다고 해도 기간통신사업자인 KT에게 통신 업무 비중이 크다”라며 “비전문가가 오면 3년 임기 중 상당 부분을 학습하다 보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KT 관계자는 “ICT 전문성이 빠진 게 아니라 산업 전반 전문성으로 확대된 것”이라며 “KT에는 통신뿐 아니라 금융, 미디어, 부동산 등 그룹 전반 사업에 대한 이해와 유관 경험을 갖춘 대표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CEO 뽑을 사외이사는 누구
9일 KT가 공시한 사외이사 7인 후보자는 곽우영 전 현대자동차 차량IT개발센터장,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안영균 세계회계사연맹(IFAC) 이사, 윤종수 전 환경부 차관, 이승훈 KCGI 글로벌부문 대표 파트너, 조승아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최양희 한림대 총장(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다. 이 중 곽우영ㆍ이승훈ㆍ조승아 KT 사외이사 후보자는 주주 추천으로 임명됐다. 이는 지난 4월 출범한 ‘뉴 거버넌스 구축 TF’의 개선안에 따른 것이다.
논란도 있다. 각각 박근혜·이명박 정부에서 장관과 차관을 역임한 최양희 총장과 윤종수 전 차관이 포함돼서다. ‘현 정권과 색깔 맞추기냐’라는 의심이다. 윤 전 차관은 현재 대통령 소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이다.
7명 중 통신 전문가가 없다는 우려도 나왔다. 이날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KT새노조는 성명을 내고 “낙하산 CEO를 위한 사전 작업이 아니냐”고 비판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