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중소벤처기업부·소프트뱅크벤처스 주최로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한 올트먼 CEO는 “오픈AI는 한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라며 “더 많은 기업을 탐방해 칩(chip·반도체) 개발 등 협력을 가속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세계적 대기업이 많고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역량도 뛰어나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9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대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소프트뱅크벤처스
“한국 스타트업 투자하고파...…한국 사무소 둘 수도”
중기부는 오픈AI와 국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논의할 계획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오픈AI와 한국 스타트업의 협업 및 투자 방안을 상의하자고 했다”며 “(오픈AI는) 특히 반도체에 강한 한국 스타트업에 관심을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청중들은 질문을 하기 위해 의자 위에 올라가 시선을 끌기도 했다. 사진 소프트뱅크벤처스
“한국도 AI 규제 동참하길...기술 자체 규제보다 단계적 규제해야”
올트먼 CEO는 이날 간담회에서 “AI 규제 국제 협력 논의에 한국도 참여하길 기대한다”라며 “한국이 지도자적 면모를 보일 수 있다”라고 제안했다. 그는 “AI 시스템을 절차적으로 배포하는 게 중요하며, AI가 단기적으로 초래할 위험에 대해 시장과 범주마다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AI 기술 개발 자체를 규제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동석한 그렉 브록만 오픈AI 공동창업자는 “기술을 규제하면 규제를 우회한 기술이 또 등장한다”이라며 “AI가 인간 활동에 적용되는 부문마다 규제가 달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기술의 활용 사례(use case)를 이해하고 이를 규제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것.
일각에선 업계 선발주자인 오픈AI가 규제를 주도하면, 후발주자에게 불리한 규칙을 만드는 일종의 ‘사다리 걷어차기’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브록만은 “우리도 그 부분을 우려한다”면서 “위험을 줄이려고 혁신을 저해하는 방식의 규제를 해서는 안 되고, 미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라고 말했다.
“일자리 사라지면 새 일자리 나타날 것”
한편 이날 행사에는 국내 AI 개발자·연구자 등 업계 종사자를 비롯해 기업인, 창업자, 대학생 등 1000여명이 참석했다. 현장은 스타트업 창업자들의 질문 열기로 뜨거웠다. 챗GPT를 사업에 활용하려는 스타트업들은 ‘언어 구조상 영어보다 한국어의 GPT 이용료가 높게 책정되는 문제’, ‘기업이 챗GPT를 이용할 경우 내부 데이터 보안 문제’ 등을 질문했다. 올트먼CEO와 브록만 창업자는 이에 대해 “내부적으로는 한국어 등 외국어 활용 문제를 개선하고 있다”, “데이터를 보호하는 기업용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오픈AI 창업 전까지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스타트업 육성기관인 ‘와이콤비네이터(Y Combinator)’ 대표였던 올트먼 CEO는 “지금이 스타트업 창업의 적기이고 기술 황금기이니, 큰 꿈을 가지고 도전하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