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 캠페인 이미지. [사진 당근마켓]](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6/12/5549cb54-af7c-47a9-a5db-b5a9044cf454.jpg)
당근마켓 캠페인 이미지. [사진 당근마켓]
법·기준 사각지대였던 중고거래
중고거래는 일반적인 거래와 달리 사업자와 소비자가 아니라 개인과 개인끼리 이뤄진다. 이 때문에 지금껏 명확한 분쟁해결 기준이 없었다. 전자거래법 적용 대상에도 해당하지 않다 보니 ‘사각지대’라는 지적이 이어져왔다.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된 중고거래 민원은 2008년 500건대에서 지난해 4200건으로 8배 이상 증가했다.
“3일 이내 중대 하자는 100% 환불”
다만 중고거래가 개인 간에 이뤄지는 만큼 분쟁해결기준 자체에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게 한계다. 판매자가 끝가지 환불을 거부한다면 결국 민사소송을 거치는 수밖에 없다. 대신 플랫폼이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선다. 플랫폼 차원에서 판매자와 소통을 시도하고, 분쟁해결 조정을 위한 내부인력을 확충한다. 상품에 하자가 있더라도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직접 환불을 요구하고, 맞서야 하는 부담을 덜게 됐다.
이날 4개 플랫폼 사업자가 공정위‧소비자원과 맺은 협약에도 “플랫폼 차원에서 (분쟁) 조정을 노력한다”는 조항이 포함됐다. 남동일 공정위 소비자정책국장은 “당근마켓 등 플랫폼 사업자들과 여러 차례 간담회를 갖는 등 실현 가능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했고, 사업자들도 적극적 협력을 약속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