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재판관 선거에 출마한 이자형 외교부 국제법률국장. 외교부 유튜브 캡처.
"끝까지 당선 노력"
국제해양법재판소는 해양 경계 획정, 어업, 해양 자원 개발, 해양 환경 등 유엔 해양법 협약의 해석·적용과 관련된 분쟁 해결을 맡는 상설 국제 재판소다. 독도 영유권 문제, 중국의 불법 조업, 더 나아가 최근 논란이 되는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까지 다양한 현안과 얽혀있다. 중국·일본과 배타적경제수역(EEZ)의 경계를 획정하지 못하고 있는 등 여러 해양 분쟁 사안을 안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선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오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재판관 선거에 출마한 이자형 외교부 국제법률국장의 당선을 격려하는 박진 외교부 장관. 외교부 유튜브 캡처.
한ㆍ일 재판관 당선 유력
한국의 경우 국제해양법재판소에 1996∼2008년 재임한 고(故) 박춘호 재판관에 이어 백진현 재판관이 2009년부터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이 국장이 당선되면 역대 세 번째 재판관이 된다. 이 국장은 국제법규과장, 주유엔대표부 참사관 등을 거쳐 국제법률국장을 맡고 있는 외교부 내 대표적인 국제법 전문가다. 그는 지금까지 유엔해양법협약 당사국 회의 수석대표, 유엔공해어업협정협상 수석대표, 한ㆍ중 해양경계확정협정 실무수석대표 등 해양법과 관련한 다양한 협상 경험도 갖추고 있다.

오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재판관 선거에 출마한 이자형 외교부 국제법률국장. 외교부 유튜브 캡처.
정부가 국제법 학자 출신이 아닌 현직 외교관을 국제해양법재판소 재판관 후보로 낙점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재판관의 직무는 중립적이지만 자국 출신 재판관을 두는 것 자체가 국익을 보호하는 발판을 마련한다는 상징성을 지닌다. 외교부 당국자는 "국제해양법재판소에서 한국에 유리한 판례가 많이 쌓이면 그만큼 추후 분쟁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韓, 글로벌 요직 속속 차지

차준홍 기자
이외에도 지난 9일에는 세계무역기구(WTO) 세이프가드위원회 의장에 전응길 제네바 대표부 공사참사관이 뽑혔다. 최근 북한의 소위 정찰위성 발사 시도로 주목받은 국제해사기구(IMO)의 경우, 임기택 사무총장이 8년째 이끌고 있다. IMO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강력 규탄하고 IMO 협약 및 결의 준수를 촉구하는 결의를 역대 최초로 채택했다.
국제사회에서 중대한 반(反)인도 범죄를 저지른 개인을 형사 처벌하기 위한 최초의 상설 국제 재판소인 국제형사재판소(ICC)도 정창호 재판관이 18명의 재판관 중 한 명으로 8년째 재직 중이다. ICC는 지난 3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쟁범죄 혐의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하는 등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더욱 주목받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국의 우수한 인적 자원이 국제사회에 포진함으로써 정부가 추진하는 글로벌 중추 국가(GPS) 비전 구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