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 이야기 여행② 강릉 해파랑길

지난 3일 강원도 강릉 '도깨비 방파제'에서 포즈를 취한 이미자, 강상원씨. 이날 진행된 해파랑길 쉼터 걷기여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덕분에 인생사진을 얻게 됐다.
대한민국 영토를 한 바퀴 도는 코리아둘레길 개통이 임박했다. 장장 4550㎞의 대장정이 3개월 뒤면 마무리된다. 강원도 고성에서부터 인천 강화도까지 해안을 두른 길은 이미 수많은 사람이 걷고 있고, 철책선 따라 이어지는 ‘DMZ 평화의길’이 오는 9월 개장할 예정이다. 대장정의 끝은 알겠는데, 시작은 기억하는 사람이 드물다. 그 시원을 찾으러 강원도 강릉으로 갔다. 쪽빛 바다를 끼고 걸으며 태초의 첫걸음을 생각했다.
해변의 한류 성지

강릉 주문진 향호 해수욕장의 '방탄소년단 버스정류장'은 전 세계 관광객이 줄을 서 기념사진을 찍는 명소다. 3일 해파랑길 쉼터 걷기여행 프로그램 참가자들도 순서를 기다려 인증사진을 찍었다.
해파랑길 40코스는 강릉 사천진해변에서 주문진해변까지 해안을 따라 난 12.4㎞의 트레일이다. 강릉바우길 12구간과 고스란히 겹친다. 해파랑길 40코스는 중간에 잠깐 소나무 우거진 야산을 올랐다가 내려올 뿐, 코스 대부분이 해변을 따라 이어진다. 길지 않은 데다 어려운 구간이 없어 인기가 높은 코스다. 종점 직전 주문진 수산시장은 주말이면 관광객으로 미어터지는 동해안 대표 관광명소다.
이 길에 한류 명소가 두 개나 있다. 주문진항 바로 앞의 작은 방파제가 그 유명한 ‘도깨비 방파제’다. 한류 드라마 ‘도깨비’의 여자 주인공이 이 방파제에서 남자 주인공으로부터 꽃을 받는 장면을 촬영했다. 이후로 이 이름 없는 방파제에 ‘도깨비 방파제’란 이름이 붙었고, 전 세계에서 찾아온 관광객이 저마다 드라마 주인공인 양 포즈를 잡고 인증사진을 찍었다. 범지구적인 인기에 힘입어 ‘도깨비 방파제’는 이제 네이버 지도는 물론이고 내비게이션에도 등장한다. 현재 방파제 앞은 주차장 공사가 한창이다.

3일 해파랑길 쉼터 걷기여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근영, 김문주씨. 숲 해설사가 알려준 대로 제피나무 잎을 얼굴에 붙였더니 모기 같은 벌레가 끼지 않았다고 한다.

3일 강릉 영진리 고분군에서 해설을 듣고 있는 해파랑길 쉼터 걷기여행 프로그램 참가자들.

그래픽=김영옥 기자
길은 문화다

3일 오후 해파랑길 40코스 주문진 해변을 걷고 있는 해파랑길 쉼터 걷기여행 프로그램 참가자들.
우선 강릉바우길. 강릉 지역 트레일이다. 2010년 이순원 (사)강릉바우길 초대 이사장을 비롯한 강릉 출신 인사들이 주도해 조성했다. 정규 코스 17개와 부속 코스 4개로 구성된다. 이기호 강릉바우길 사무국장은 “전국에서 걷기여행 열풍이 불었던 2009년부터 길을 내기 시작했다”며 “강릉에도 걷기 좋은 길이 있다는 걸 알리기 위해 스스로 시작한 일이 여기까지 왔다”고 말했다.

강릉바우길 권미영 실장의 배낭. 해파랑길, 강릉바우길, 코리아둘레길 등 강릉을 지나는 여러 트레일의 배지가 달려 있다.
“MB 정부 시절 문체부가 해파랑길을 내겠다고 했을 때 반대가 있었습니다. 문체부에 소속된 땅도 없고 행정적 권한도 없었으니까요. 그러나 길은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지는 것입니다. 오히려 문화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민간단체와 행정기관, 자치단체를 모을 수 있었습니다.”

코리아둘레길 지도. 그래픽 한국관광공사
코리아둘레길이 애초부터 계획했던 프로젝트가 아니라는 건 해파랑길과 남파랑길 시작점이 부산 오륙도이라는 사실이 증명한다. 해파랑길은 부산에서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고, 남파랑길은 부산에서 남해안을 따라 서진한다. 처음부터 우리나라를 두르려고 했다면 부산에서 두 종주 트레일이 시작할 이유가 없다.
아무튼 코리아둘레길 사업은 착착 진행됐다. 2016년 해파랑길이 정식 개통했고, 2017년 코리아둘레길 사업이 공식 시작됐고, 2020년엔 남파랑길(90개 코스 1470㎞)이 연결됐고, 2022년엔 서해랑길(109개 코스 1800㎞)마저 열렸다. 이제 철책선을 따라 ‘DMZ 평화의길(36개 코스 524㎞)’만 이으면 대장정이 마무리될 참이다.

강릉여행안내센터 ‘강릉수월래’에 비치된 강릉 지역 트레일 물품들. 이정표, 리본, 도보여행자 여권, 배지 등 종류가 다양하다.

3일 해파랑길 40코스를 걷다가 마주친 외국인 관광객. 이름 없는 작은 해변에서 인어공주 복장을 하고 인증사진을 찍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