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만원권. 중앙포토
기획재정부는 15일 이같은 내용 등을 담은 6월 재정동향을 발표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정부의 총수입은 211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1년 전 같은 시점 대비 34조1000억원 감소한 수치다.
국세수입이 134조원으로 소득세·법인세·부가세 등을 중심으로 작년 동기 대비 33조9000억원 감소한 것이 총수입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됐다.
4월까지 정부의 총지출은 240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조5000억원 감소했다.
코로나19 위기 대응 사업과 소상공인 손실보상 사업이 종료되면서 총지출을 줄이는 효과를 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4월 말 기준 29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45조4000억원 적자였다.
1년 전보다 적자 폭이 7조4000억원 더 늘었지만 한 달 전(54조원)과 비교해보면 8조6000억원 개선됐다.
4월까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정부가 제시한 올해 연간 전망치(-58조2000억원)의 78%에 달하는 수준이다.
한 해 나라 살림 적자 예상치의 3/4 이상을 4개월 만에 기록할 만큼 재정 상황이 나쁘다는 것이다.
4월 말 기준으로 집계한 국가채무는 1072조7000억원으로 전월보다 19조1000억원 증가했다.
작년 말 대비로 보면 국가채무는 39조2000억원 늘었다. 국고채 잔액이 38조1000억원, 외평채 잔액이 8000억원 늘었다.
연말 기준 국가채무 예상치인 1100조3000억원까지는 약 30조원을 남겨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