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15일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를 접견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영희 특파원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 참석을 위해 전날 일본에 입국한 조 실장은 이날 오후 도쿄(東京) 총리관저를 찾아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를 예방했다. 이후 기자들과 만나 "기시다 총리가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히면서 가까운 장래에 윤석열 대통령을 다시 만나 대화 하고 싶다는 뜻을 표했다"고 전했다.
이어 "한·일 관계 개선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결과물이 나오는 것이 중요하며, 그런 차원에서 양국의 경제안보대화가 많은 성과 낼 수 있도록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함께 노력하겠다는 뜻을 (기시다 총리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전날 조 실장과 아키바 차관은 글로벌 공급망 안정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경제안보대화 출범회의를 가졌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와 관련해선 "오염수 문제는 한국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달린 중요한 문제로, 일본에 높은 투명성을 갖고 한국과 협력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일본 측으로부터 시찰단 방문에 협조한 것처럼 앞으로도 투명한 소통과 협력을 하겠다는 말을 들었다"고 밝혔다.
앞서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아키바 국장과 가진 3자 회담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위협에 대한 3국 공조 방안과 지역 내 안보 상황이 주로 논의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한의 핵 실험을 막기 위해 중국을 설득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고, 북한이 핵 실험을 감행할 경우 외교적, 군사적으로 어떤 조치를 내놓을 것인가를 협의하고 조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 최근 북한이 "(일본과) 만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힌 데 대해선 "북한의 외교적인 전술에 한·미·일 세 나라가 긴밀히 소통하면서 '원 보이스(하나의 목소리)'로 대처를 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이뤘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과 일본 사이에 새로운 움직임이 있을 경우 한국과 미국은 투명하게 정보를 들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