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1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지난달 17~31일 자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636명(집주인 또는 세입자)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60.4%가 ‘월세보다 전세 거래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지난해 8월 같은 질문으로 조사한 결과(57%)와 비교하면, 전세 선호 의사를 밝힌 비율이 1년 전보다 3.4%포인트 늘었다. 세입자 응답을 보면, 특히 월세(보증부 월세 포함)로 거주하는 세입자의 전세 선호 응답률이 지난해 37.9%에서 올해 48.6%로 10%포인트 넘게 뛰었다. 같은 기간 전세 세입자의 ‘전세를 선호한다’는 응답률은 85.4%에서 87.6%로 소폭 늘었다.
세입자가 전세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매월 부담해야 하는 고정지출이 없어서’가 55.1%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월세보다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적어서’(25.3%), ‘내 집 마련을 위한 발판이 돼서’(8.4%), ‘전세자금대출 등 금융을 통한 대출 상품이 다양해서’(6.4%) 등이 뒤를 이었다. 직방 관계자는 “역전세에 대한 걱정이 줄면서 전세 거래를 선호하는 세입자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실제 연초만 해도 올 하반기에 역전세난이 심해질 것이란 경고가 잇따랐지만, 전세 수요가 조금씩 늘면서 전셋값도 반등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5월 22일부터 16주 연속 상승세다. 주간 오름폭도 0.17%까지 커졌다. 지방 아파트 전셋값(0.01%)은 지난해 5월 초 이후 1년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면적 84㎡는 연초 전셋값이 8억~9억원대까지 내렸지만, 현재는 11억~12억원대에서 거래된다. 지난 1~2월 6억~7억원대까지 떨어졌던 용산구 이촌동 강촌아파트 전용 84㎡ 전셋값도 이달 초 8억원에 계약됐다. 전세 거래도 증가세다. 부동산R114 조사 결과, 올해 1∼7월 수도권 아파트 전세 거래 건수는 9만441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만8148건)보다 7.1% 늘었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연초 5~6%대였던 시중은행 전세대출금리가 3~4%대로 내려오면서 월세에서 전세로 회귀하는 수요가 늘었고, 낮아진 가격에 ‘갈아타기 수요’가 맞물리면서 전셋값이 회복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