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위안화. REUTERS=연합뉴스
이번 금리 동결은 인민은행이 유동성 공급 정책의 효과를 살피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인민은행은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우려와 부동산 시장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가 닥친 상황에서 지난 15일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등 유동성 공급에 공을 들여왔다.
미국과 중국의 금리 차가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해 환율을 방어하려는 의도도 담겼다.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이 연 5.5%까지 오른 가운데 중국의 금리 인하는 외국인 자금 이탈과 위안화 가치 하락을 부추길 수 있다. 위안화 환율은 지난 8일 16년 만의 최고치인 달러당 7.351위안까지 올랐다(위안화 가치 하락). 이에 인민은행은 기준환율을 낮추는 등 적극적인 환율 개입에도 나서는 상황이다.
중국 경제가 바닥을 찍고 반등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중국 당국의 부담을 덜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지난달 중국의 소매판매(전년 대비 4.6%)와 산업생산(4.5%)은 각각 3%대를 예상한 시장 전망치를 뛰어넘었다. 주춤했던 소비를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국경절(9월29일~10월6일), 광군제(11월11일) 등 대목도 줄줄이 예정돼 있다.
다만, 중국의 경제 회복 동력이 여전히 약하다는 전망도 여전하다. 투자·소비가 회복하기에는 부동산 시장 침체와 역사적인 수준으로 치솟은 청년 실업률 등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시장은 인민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완전히 종료된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중국 신용평가사 둥팡진청의 왕칭 수석 거시경제 애널리스트는 "물가상승률은 계속 낮은 상황이라 연말 이전에 LPR이 인하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순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