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UTERS=연합뉴스
특히 올해 상반기 부채 증가의 80% 이상이 선진국에서 발생했다. 미국·일본·프랑스의 증가 폭이 특히 컸다. 신용평가사 피치의 에드워드 파커 국가신용리서치 부문 대표는 "치솟는 이자는 선진국 시장에서 공공 재정과 국가 신용등급에 주요 위험 요인"이라고 짚었다. 신흥 시장에서는 경제 규모가 큰 국가들인 중국·인도·브라질 등에서 부채 상승 폭이 컸다.
각국 정부가 경기 침체를 피하려 확장 재정을 편성하면서 부채가 불어났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등 각국 중앙은행의 고강도 긴축이 지난해부터 본격화하면서 차입 비용이 비싸진 것도 한몫했다.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은 2개 분기 연속 336%에 달했다. 사상 최고치였던 2021년 1분기(361.5%)보다는 낮지만, 2021년 2분기부터 약 2년간 감소세를 보이다 올해 들어 반등한 것이다. 보고서는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둔화하면서 명목 GDP 증가 속도가 부채 수준을 따라가지 못한 것이 부채 비율을 높인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임금·물가 압력이 완화하면서 연말까지 부채 비율이 337%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IIF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중국·한국·태국 등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여전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짚었다. 한국의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분기에 101.7%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높았다. 1위 스위스(126.1%)·2위 호주(109.9%)·3위 캐나다(103.1%)의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