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시간주 벨빌에 있는 제너럴모터스( GM ) 윌로우런 물류센터 앞에서 열린 전미자동차노동자협회( UAW ) 집회에서 참석했다. 연합뉴스
미국 자동차 노조 파업…왜?
UAW는 14만6000여 명이 가입한 미국 최대 자동차 노조다. UAW는 이달 중순 40%대 임금 인상과 전기차 생산 확대 과정에서 고용 안정 강화 등을 요구하면서 포드와 스텔란티스, GM 등 이른바 ‘빅3’ 자동차 제조사를 상대로 파업에 돌입했다. 1935년 결성된 전미자동차노조 역사상 첫 동시 파업이다. 지난 22일 노조는 협상에 진전이 더뎌지자, 포드를 제외한 GM과 스텔란티스 공장에서 파업 확대를 선언하면서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내년 미국 대선의 핵심 변수이기도 하다. 심지어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6일 웨인카운티 벨빌의 GM 물류센터 부근 시위 현장에서 ‘피켓 라인(picket line)’에 동참해 UAW의 검은색 야구모자를 쓰고 “메이저 자동차 업체의 호실적에 따라 여러분들은 원하는 만큼의 상당한 급여 인상과 다른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다”며 노조를 지지하기도 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정권 초부터 전기차 육성 정책 드라이브를 걸자 지난 5월 UAW가 “2024년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 지지를 유보하겠다”고 발표한 데 대한 유화책인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도 노조 관련 행사 참석을 예고하는 등 민심 달래기에 나섰다.
사측은 비용 증가에 따른 경쟁력 저하를 이유로 최대 20%의 인상안을 고수하고 있지만, UAW는 4년간 임금 36%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무엇보다 전기차로의 전환에 따른 고용 보장도 주요 쟁점이다. 본격적인 전기차 생산과 신기술 도입을 앞두고 더 늦기 전에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는 배경에서다. 전기차 한 대 생산에 필요한 인력은 내연기관차보다 30% 정도 적은 걸로 알려져 있다.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중앙포토
이런 파업 소용돌이에 빠진 미국 자동차 업계에서 홀로 미소 짓는 기업이 있다. 자동차 제조사 중 유일하게 노조가 없는 테슬라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가 창업한 2003년 이후 지금까지 ‘무노조 경영’을 고수해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파업과 임금 협상이 어떻게 마무리되든 포드와 스텔란티스, GM에 더 큰 비용 부담을 가져올 것이고, 생산비용에서 우위에 있는 테슬라는 반대 급부로 경쟁력이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보도했다. 디트로이트 자동차 업체들의 인건비가 복리후생비를 포함해 시간당 평균 86달러(약 11만6000원)수준인데 UAW 측 요구를 모두 받아들이면 시간당 인건비는 평균 136달러(약 18만3000원)가 되는데 반해, 무노조인 테슬라는 거의 절반 수준인 45달러(약 6만원) 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치 매체 폴리티코는 “전기차 전환 정책을 지금 속도로 강행하면 내연기관 자동차 노조의 계속되는 반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며 “그렇다고 노조 측의 요구를 대폭 받아들여 전기차 전환에 속도 조절을 할 경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정책 성과와 효과가 낮아질 위험이 있다”고 짚었다.
파업이 기회?… 반사이익 노리는 현대차

현대자동차 노사가 지난 20일 울산본사에서 이동석 대표이사, 안현호 노조지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임금 및 단체협약 조인식'을 맺었다. 사진 뉴스1
실제로 현대차를 비롯한 국내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들의 임금 협상은 추석 연휴 전에 대부분 마무리됐다. 현대차가 파업 없이 단체교섭의 매듭을 지은 것은 2019년 이후 5년 연속으로, 이는 1987년 현대차 노조 창립 이후 처음이다. 한국GM의 임금 협상이 지난 26일 사실상 타결됐고, 르노코리아자동차도 2년 연속 무분규 타결을 지난 20일에는 이뤘다. KG모빌리티는 지난달 일찌감치 올해 임협을 마친 바 있다. 현재 기아의 교섭만이 결국 추석 연휴를 넘기게 됐다.
다만 전동화 전환이 본격화하면 인력 문제를 둘러싼 노사 갈등이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인력을 줄이려는 회사와 정년 연장 등 고용 안정을 요구하는 노조 간 입장이 엇갈리면서다. 2019년 현대차 노조가 제시한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 물량 중 2030년 전기차가 25%로 늘어나면 최대 2837명의 인력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