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산군 추부깻잎연합회 농민들이 깻잎을 포장하고 있다. 김성태 객원기자
깻잎, 지난해 30억2500만장 팔아
깻잎이 금산의 생산액 1위 작물이 된 것은 2010년부터다. 인삼은 매년 300억원을 살짝 웃도는 수준에서 제자리걸음 하는 반면, 깻잎 생산은 쑥쑥 늘어 2010년 328억원을 기록했다. 그 뒤로도 매년 생산액이 연평균 10%가량 늘었다. 깻잎 농사를 짓는 농가는 지난해 말 기준 1780가구로 해마다 늘고 있다고 한다. 이 가운데 30~40%는 귀농인이다. 금산 깻잎 생산량도 2023년 9197t에서 지난해 1만135t으로 증가했다.
금산 깻잎, 일교차 큰 산악지형이라 향이 짙어

충남 금산군 추부면 양인호 추부깻잎재배연합회장이 수확한 깻잎을 들고 있다. 김성태 객원기자
금산 깻잎은 “향이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허창덕 금산부군수는 “산악 지역이 많은 금산은 대전 등 인근보다 일교차가 2~3도 더 난다”며 “일교차가 크면 과일은 당도가 높아지고 깻잎 같은 작물은 고유의 향이 강해진다”고 전했다. 금산에서 깻잎 재배가 인기를 끌면서 인근 충북 옥천이나 전북 진안에서도 재배하는 농가가 점차 늘고 있다. 금산군은 깻잎을 2011년 지리적 표시제에 등록했다.
깻잎은 한 해 두 차례, 2∼3월과 8∼9월에 씨를 뿌린다. 들깨 한 그루에서 한 번에 깻잎 60여장을 뜯을 수 있다. 여름에는 2~3일, 겨울에는 10~15일 간격으로 깻잎을 딴다.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깻잎은 연중 수확이 가능하다. 깻잎 생산과 판매는 분업으로 이뤄진다. 농가가 생산하면 농협이 수거해 포장한 뒤 서울 가락동농수산물시장과 대형마트에 판다. 농민은 판매금액의 일부를 농협에 수수료로 낸다.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만인산 농협에서 농민들이 깻잎을 포장하고 있다. 중앙포토
농가 50% 이상은 매출 1억 넘어
하지만 깻잎 농가 고민도 있다. 기후변화로 기온이 상승하고 인건비가 오르면서 영농비도 증가하고 있다. 양인호 금산군 추부깻잎연합회장은 “최근 3~4년 전부터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면서 냉방 장치 가동 등을 위해 영농비가 3배 정도 뛰었다”라며 “최저임금 수준을 줘야 하는 외국인 근로자 인건비도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양 회장은 7260㎡ 정도의 밭에서 깻잎을 연간 1억4000만원어치 생산한다. 박범인 금산군수는 “다양한 지원 정책을 통해 깻잎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