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투자자의 일본 주식 순매수액은 8412만 달러(1137억원)로 전월 대비 23.8% 감소했다. 올해 순매수액이 가장 많았던 7월(1억5388만 달러)과 비교하면 45.3% 줄었다. 올해 들어 일본 주식 투자는 앞으로 엔화 가치 상승에 따른 환차익과 일본 경기 개선에 따른 주가 상승 기대로 크게 늘었지만, 이 같은 흐름은 한풀 꺾인 모습이다.

김주원 기자
그러나 이 같은 성장률 성적표와 달리 개별 경제지표로 본 경기 전망은 밝지 않다.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개인 소비는 지난 2분기에 전 분기 대비 0.5% 감소했다. 기업의 설비투자 역시 0.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어렵게 피어난 불꽃이 다시 사그라들 수 있다는 불안감이 생기는 이유다.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2분기 일본의 산업생산은 전 세계 제조업 경기가 악화하면서 정체된 가운데, 실질 임금이 2~4% 줄면서 실질 소비 역시 둔화했다”며 “일본은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2분기 경제성장률을 기록했지만, 내수 경기 위축을 동반한 ‘불황형 흑자’가 배경에 깔렸다”고 설명했다.

1만엔권 엔화. 일본의 물가 상승으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엔화가치 상승과 경기 침체가 초래될 수 있다. 연합뉴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일본 경제를 보는 시각은 매우 긍정적이었지만, 지금은 유보적”이라며 “경기 회복 추세를 이끄는 기업의 투자가 개선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없고, 통화 정책의 불확실성이 더해지는 환경도 긍정적이지 않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