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 20도는 봄날"…간호사 출신 소방관 '남극 1년 생존기'

고양소방서 구급대원 김성한(왼쪽) 소방장이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육상 안전대원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1년여간 생활한 기록을 '남극 일 년 살기' 책으로 펴냈다. 사진 김성한 소방장 제공

고양소방서 구급대원 김성한(왼쪽) 소방장이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육상 안전대원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1년여간 생활한 기록을 '남극 일 년 살기' 책으로 펴냈다. 사진 김성한 소방장 제공

 
서울에서 1만2740㎞ 떨어진 남극에도 대한민국 소방관이 있다. 극지연구소(KOPRI)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의 유일한 ‘육상 안전대원’으로 화재·구조·구급 업무를 담당한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고양소방서 행신119안전센터 구급대원 김성한(45) 소방장은 지난 2022년 12월 2일부터 2023년 12월 10일까지 남극에서 374일을 보내고 돌아왔다. 김 소방장의 남극 체류기는 지난 4일 『남극 일 년 살기』란 책으로 출간됐다.

3전4기 끝 소방관에서 남극 대원으로

김 소방장은 소방관이 되기 전 간호사였다. 고양 명지병원 응급실과 심혈관센터에서 7년 6개월 근무하다 2012년 119 구급대원이 됐다. 그러던 중 우연한 계기로 남극 파견 대원을 선발한다는 공지를 접했다. 극한의 날씨, 세상의 끝에 대한 동경이 있었다. 1급 응급구조사 또는 간호사 면허증이 있으면서 현장 활동 경험이 5년 이상이란 지원 자격은 갖췄다.

2019년부터 지원했지만 내리 3번 탈락했다. 2021년엔 최종 면접에서 떨어졌기 때문에 아쉬움이 더 컸다. 김 소방장은 “파견 기간이 1년으로 길어 아내가 섭섭해했지만, 계속 떨어져도 지원하는 걸 보면서 ‘내 남편, 말려도 언젠가 가겠구나’ 포기하고 응원해 줬다”고 말했다.

3전 4기였다. 2022년 6월 소방청에서 합격 통보가 왔다. 그는 “나라에서 보내는 유일한 소방관으로 육상 안전 업무, 간호사 업무, 구급대원 업무까지 모든 걸 혼자 해내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다”고 합격 소식을 들었을 당시를 회상했다.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서 374일 임무 

장보고 과학기지는 동남극 북빅토리아랜드 테라노바 만 연안에 있다. 기후변화 연구와 지형 및 지질 조사, 고층대기, 우주과학 연구 등을 수행한다. 항공기로 인천국제공항에서 장보고 기지가 있는 테라노바 만까지 20시간이면 이동할 수 있지만 기후 변화 영향으로 해빙활주로 기능을 상실해 하늘길이 막혔다.


결국 김 소방장을 포함한 18명의 10차 장보고 과학기지 월동연구대는 인천국제공항에서 뉴질랜드 오클랜드를 경유해 크라이스트처치 공항을 거쳐 리틀턴항에서 국내 유일의 쇄빙선 아라온호를 타고 13박 14일 항해 끝에 기지에 도착했다. 2022~2023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이동하는 곳마다 검사하고 격리 기간을 보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동 중에 양성이 나온 대원들은 아라온호 헬기 보관 데크에 텐트를 치고 선상 격리 야영을 했다.

단발머리 아빠의 아들 졸업식 영상 축사 

육상 안전대원은 중장비, 고공 작업 등 고위험 작업 전 안전, 헬기 이착륙 안전 업무가 주 임무다. 1년여 생활하는 동안 머리카락 손질을 하지 못했다. ‘단발머리 소방관 아빠’는 아들 졸업식에 학교 요청으로 남극에서 축하 영상을 보냈다.

극지연구소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육상 안전대원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1년여간 생활한 고양소방서 구급대원 김성한 소방장이 남극 펭귄들과 찍은 사진. 김성한 소방장 제공

극지연구소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육상 안전대원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1년여간 생활한 고양소방서 구급대원 김성한 소방장이 남극 펭귄들과 찍은 사진. 김성한 소방장 제공

극지연구소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육상 안전대원으로 1년 간 생활한 고양소방서 구급대원 김성한(왼쪽) 소방장이 지난 2023년 1월 남극 멜버른산에서 악천후로 고립됐을 당시 대만대학교 학생이 만든 이글루 앞에 서있다. 사진 김성한 소방장 제공

극지연구소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육상 안전대원으로 1년 간 생활한 고양소방서 구급대원 김성한(왼쪽) 소방장이 지난 2023년 1월 남극 멜버른산에서 악천후로 고립됐을 당시 대만대학교 학생이 만든 이글루 앞에 서있다. 사진 김성한 소방장 제공

 
남극에서의 영하 20도는 ‘봄날의 햇살’처럼 포근한 편이라고 한다. 하지만 기상 악화로 고립된 경우엔 사정이 다르다. 남극 생활이 불과 채 한 달가량 지난 2023년 1월 말께 활화산인 멜버른산에 고립됐던 경험이 가장 아찔하면서도 기억에 남는 순간이었다. 김 소방장은 헬기를 타고 대만대학교 연구팀의 야외 활동 지원 업무를 나갔다.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에 바람도 잠잠해 산 정상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극지 날씨는 변덕스러웠다. 2시간 뒤에 돌아온다는 헬기가 산 정상에 내려오지 못하는 상황이 초래됐다. 김 소방장은 “장갑을 잠깐 벗었을 뿐인데 10분 넘게 손가락이 떨어져 나가는 느낌이 들었다”며 “그 와중에 대만대학교 학생이 눈보라와 강추위 속에 이글루를 만들어 골판지에 ‘Taiwan Station’이라고 써서 붙이는 걸 보곤 감명을 받았다”고 말했다. 대만은 아직 남극에 과학 기지가 없다. 김 소방장은 “극지 연구 선진국인 대한민국이 자랑스러우면서도 대만대 학생의 남극 기지에 대한 열망과 노력에 감동을 받았다”고 했다.

북위 37도 북반구의 한국과 남위 74도 남반구의 장보고 기지 계절은 정반대다. 11차 월동연구대와 임무를 교대하는 2023년 12월, 남극의 여름이 시작되는 시기여서 김 소방장 일행은 파견 당시와 마찬가지로 해빙 활주로에 제약이 있어 항공편을 이용할 수 없었다. 남극 얼음을 깨고 지그재그로 항해하는 쇄빙선 아라온호를 타고 리틀턴항을 거쳐 시드니 국제공항에서 한국행 여객기에 몸을 실어 꼬박 2주 만인 지난해 1월 1일 귀국했다. 햇수로 2년 만의 귀환이었다.

김 소방장은 “펭귄들이 서식하는 얼음 대륙과 빙하, 기지 동료들뿐이었던 남극에서 돌아와 행주대교를 건널 때 눈 앞에 펼쳐진 네온사인들이 문명 세계로 돌아온 날 환영해주는 것 같았다”며 “1년간 남극에 꿈 찾아간 아빠, 남편을 기다려준 가족에게 고맙다. 아무나 할 수 없는 남극에서의 경험과 자부심이 극지에서의 고생을 넘어 보람으로 남았다”고 했다.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육상 안전대원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1년여간 생활한 기록을 '남극 일 년 살기' 책으로 펴낸 고양소방서 구급대원 김성한(왼쪽) 소방장. 파주소방서 근무 당시 촬영한 사진. 김성한 소방장 제공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육상 안전대원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1년여간 생활한 기록을 '남극 일 년 살기' 책으로 펴낸 고양소방서 구급대원 김성한(왼쪽) 소방장. 파주소방서 근무 당시 촬영한 사진. 김성한 소방장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