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이스라엘 남부의 가자지구 접경에서 찍은 사진이다.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가자지구가 초토화되고 있다. AFP=연합뉴스
FT는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 이스라엘이 고강도 지상 작전을 벌인 뒤 '전환·안정화'를 위해 저강도 군사작전을 펼치는 다단계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강도 지상 작전엔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남부까지 깊숙이 밀고 들어가면서 하마스 최고 지도자인 야히야 신와르, 무함마드 데이프, 마르완 잇사 3명을 살해하는 암살 작전도 포함됐다.
이들은 고강도 지상 작전이 몇 달 걸릴 것으로 추정했으나 미국과 이스라엘의 논의에 관해 잘 아는 한 인사는 "몇주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남부 지역 공격은 칸 유니스와 라파 등 두 지역에 집중될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칸 유니스는 가자지구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다. 신와르와 데이프의 고향이기도 하다. 라파는 이집트 접경 지역으로 가자지구가 외부와 연결되는 지역이다.
이스라엘 관계자는 가자-이집트 국경과 지하 밀수 터널이 하마스가 군사력을 재건하는 데 있어서 산소공급로와 같기 때문에 이들 두 곳이 표적이라고 설명했다.
가자지구 북부에 대한 지상전으로 남부 지역에는 팔레스타인 민간인이 200만명이 몰려있다. 이스라엘은 민간인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부담을 안고 작전에 임해야 한다. 이후 전환·안정화 단계는 2024년 말까지 계속될 수 있는데 명확한 시기는 불분명하다. 이는 하마스가 없는 새로운 질서에 가자지구가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한 이스라엘 관리는 이전의 군사작전이나 전쟁과 달리 이번엔 확고한 종료시점이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고 FT는 전했다.
앞서 영국 일간 더 타임스도 이스라엘군이 일시 휴전이 끝나면 가자지구에서 하마스 궤멸을 위한 장기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FT에 따르면 이스라엘 한 관계자는 가자시티 북부 지역 작전도 아직 40%만 이뤄졌으며 북쪽 전체로 2주∼1개월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이스라엘은 가자 북부를 공격할 때 대규모 폭사로 민간인 희생자가 다수 발생해 비판을 받았다. 가디언지는 이스라엘이 마을 단위로 민간인을 대피시킨 뒤 지상과 지하터널을 공격하는 새로운 방안이 검토된다고 언급했다.
이 방식이 실행 가능하다면 이스라엘군은 전쟁이 적어도 내년 1월까지는 계속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가디언지는 전했다. 가디언지는 전쟁 장기화와 추가 대피에 관한 전망이 나오면서 이스라엘의 궁극적인 목표가 가자지구의 인구를 줄이는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