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대비 원화 값 5개월 만 1350원대

정근영 디자이너
이날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이날 장 시작과 동시에 1350원대까지 떨어졌다. 달러와 비교한 원화 값이 1350원대까지 낮아진 것은 지난해 11월1일 이후 약 5개월 만에 처음이다. 올해 초 달러 대비 원화 값이 1300원 초반까지 올라왔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약 3개월 만에 50원 가까이 떨어졌다.
불확실한 금리 인하에 달러 다시 강세

연방준비제도(Fed) 새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블룸버그
실제 지난 12일(현지시간) 발표한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3.2% 오르면서, 시장 예상치(3.1%)를 소폭 상회했다. 이러한 영향에 27일(현지시간)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Fed 이사는 “최근 물가 관련 지표들이 실망스럽다”면서 “데이터에 따라 전반적 금리 인하 수를 줄이거나 금리 인하를 더 미루는 게 적절하다”고 했다.
커진 한·미 경제 격차 “달러 강세 이어질 것”
한·미 경제 격차는 기준금리 인하 이후 더 벌어질 수 있다. 미국 경기가 여전히 확장 국면에 있는 만큼, 긴축 정책 완화가 미국 경제 독주 체제에 기름을 부을 수 있어서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환율은 기준금리 인하뿐 아니라 각국의 기초 경제 체력을 반영해 결정된다”면서 “유럽·일본·중국 등 다른 경쟁국과 비교해도 최근 미국 경제가 유독 강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강달러 국면이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김영옥 기자
엔화와 위안화 등 아시아 통화의 동반 약세 분위기도 원화 가치의 상대적 약세를 만들고 있다. 지난 19일 일본은행(BOJ)은 17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종료를 선언했지만, 추가 금리 인상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전망에 ‘수퍼 엔저’ 분위기가 여전히 이어졌다. 여기에 중국 경기 침체 우려로 위안화 약세까지 더해지면서, 이에 동조하는 원화 가치를 더 끌어내렸다.
强 달러, 물가 복병…“‘울퉁불퉁(bumpy)’ 구간 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403/28/fd6f77cf-b227-48d1-bc93-3d6eec8f29da.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특히 최근 금융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건 물가 상승률에 악재다. 이 때문에 지난해 고물가가 장기간 유지됐던 ‘끈적한(sticky)’ 국면이 가고, 물가 변동성이 커지는 ‘울퉁불퉁한(bumpy)’ 구간이 찾아왔다는 분석도 나온다.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률은 점차 둔화하겠지만, 완전한 목표 물가 상승률(2%) 달성까지는 물가 상승률의 변동 폭이 확대되는 등 불확실성이 당분간 더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지난 22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전 세계가 물가 안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평탄한 선형의 형태로 내려오지 않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등 울퉁불퉁한 길을 내려오고 있다”고 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Fed 의장도 “우리는 지난 2개월 동안 울퉁불퉁한 물가 상승률 지표를 봤고 앞으로도 울퉁불퉁한 여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강달러 자체가 국내 물가에 직접적 영향 주는 건 아니지만,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수입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국내 물가에 부정적 영향 미칠 수 있다”며 “6월 연준의 금리 인하 여부가 강달러 추세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