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 과도 규제”vs“청소년 우회 구입”…‘주류 통신판매’ 허용 공방

주류 비즈니스 플랫폼인 '2004 부산국제주류박람회(BILIE)'가 지난 8월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개최돼 방문객들이 와인 등 전시된 주류를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주류 비즈니스 플랫폼인 '2004 부산국제주류박람회(BILIE)'가 지난 8월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개최돼 방문객들이 와인 등 전시된 주류를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한국에서 전통주를 제외한 소주·맥주·와인 등 주류는 온라인으로 구입할 수 없다. 산업계에서는 온라인 주류 구매 제한은 해외 주요국과 비교해 과도한 규제라는 주장이 나온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미성년자의 주류 구입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함께 제기된다 

7일 국세청 등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서 온라인을 통한 주류 통신판매는 국세청 ‘주류의 통신판매에 관한 명령위임 고시’에 따라 전통주를 제외하고 모두 금지된다. 예외적으로 음식 배달 시 주류 금액이 음식 주문금액의 50% 이하일 경우에 같이 받을 순 있다. 주류만을 온라인으로 구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국내 주류업계에선 통신판매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핵심 근거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한국과 폴란드 등 2개국만 통신판매를 금지하고 있다는 점을 꼽는다. 특히 최근 ‘해외 직구(직접구매)’를 통한 주류 구매가 늘어나면서 국내에서만 온라인 판매를 금지하는 것은 국내 업계에 역차별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실제 관세청에 따르면 주류의 해외 직구 규모는 2018년 26억1000만원에서 지난해 394억5700만원으로 5년새 15배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통신판매 범위가 확대되면 자칫 미성년자의 주류 구입 가능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이미 해외 직구의 경우에도 미성년자가 부모 등 성인의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받아 주류·담배 등을 구입할 경우 통관 단계에서 거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장조사업체 엠브레인이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주류 구매·배송 허용 시 ‘미성년자 술 구매 증가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77%로 가장 컸다.

이런 논란 속에 국책연구기관인 조세재정연구원은 주류 통신판매 허용에 따른 폐해가 더 크다는 취지의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국세청 연구용역을 받아 작성한 ‘해외 각국의 주류 온라인·통신 판매 현황 및 기타 규제사항 연구’ 보고서에서다. 조세재정연구원은 한국의 주류 접근성이 이미 OECD 회원국에 비해 높다고 지적했다. 단순히 통신판매 여부만 놓고 한국의 규제가 강하다고 판단해선 안 된다는 취지다. 예를 들어 통신판매가 가능한 미국·영국·프랑스 등은 교육기관, 대중교통 내, 공원 등의 장소에서 음주할 수 없다는 규정이 존재하지만, 한국은 지자체 재량권에 맡기는 등 장소 규제가 없다시피 하다.


연구원은 “한국은 유통체계를 완화할 경우 제도적·정책적 조정장치가 작동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세계 주요 국가들이 통신판매를 허용하고 있으므로 한국 또한 이에 동참해야 한다는 피상적이고 1차원적인 접근의 우를 범해선 안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