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아시아판 나토가 어려운 이유와 관련해 “이념으로선 좋을지 모르지만, 인도가 참가할 순 없다”고 말했다. 인도 같은 역내 주요 국가가 받아들일 수 없는 정책이라면 실현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는 이시바 총리가 지난 12일 열린 여·야 7당 대표 토론회에서 아시아판 나토 창설 구상과 관련해 “당내 논의에 속도를 내 국회에서 (찬반을) 묻겠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과는 다른 해석이다.
나이 교수는 이시바 총리가 취임 전부터 강조해온 ‘미·일 지위협정(SOFA)’에 대해선 “(일본 측이 협의에 나서도) 미·일 동맹이 깨지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미국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주일미군의 부대 운용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주일미군 통합군사령부’를 창설하는 것을 두고선 “(중국의 위협에 대응해) 미·일 동맹이 더 견고해질 것”이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냈다. 올 연말 창설될 예정인 주일미군 통합군사령부는 유사시 독자적인 작전지휘권을 갖고 일본 자위대의 통합작전사령부와 조정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일미군의 상급 부대인 미 인도태평양사령부가 하와이에 있어 중국의 대만 침공 등 유사시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그간 있었다.
나이 교수는 이번 인터뷰에서 미 대선 이후 미·일 관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할 경우 “(트럼프 1기 때처럼) 주일미군 주둔 비용의 부담 증액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며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는 트럼프를 통제할 수 있었지만, 이시바 총리가 (그렇게) 할 수 있을진 모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