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는 한국 시간으로 이날 오후 3시 중국 역외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달러당 0.0057위안 하락한(환율은 상승) 7.2031위안에 거래됐다. 1달러당 7.2위안 선을 뚫은 것은 물론, 8월 1일(7.2497위안) 이후 넉 달여 만에 가장 낮다. 중국 외환 당국의 통제를 받는 역내시장에서도 이달 초 7위안 선까지 오른 위안화는 이날 달러당 7.1872위안까지 밀려났다.
달러대비 위안화 가치가 맥을 못 추는 건 ‘10조 위안(약 1937조원) 부양책’에 시장이 실망한 영향이 크다. 지난 8일 중국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 상무위원회는 5년간 지방정부의 부채 부담을 낮추는 데 10조 위안 상당의 자금을 쏟아붓기로 결정했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8% 안팎의 대규모 재정이 투입됐지만, 시장이 기대했던 실물 경기 부양책은 발표되지 않았다. 황쉐펑 중국 안방사모펀드 리서치 책임자가 “지방 정부의 숨겨진 부채를 대환하는 방안은 새 일자리를 창출하지 않아 GDP 성장에 직접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분석한 이유다.
트럼프 재집권 시대가 열리면서, 중국 침체 우려가 더 커졌다는 점도 위안화 가치 하락을 압박한다. 특히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중국에 대한 60% 고율 관세가 시행될 경우 내년 중국 GDP 성장률은 2%대로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iM증권에 따르면 UBS와 씨티그룹은 트럼프 2기 관세정책이 현실화되면 중국의 성장률은 각각 2.5%, 2.4%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위안화 약세와 트럼프 리스크는 국내 외환시장에 부담 요인이다. 중국 수출 비중이 큰 한국 특성상 원화는 위안화와 동조화 경향이 있는 데다 트럼프 당선은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해서다.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선 원화값(3시 30분 기준)은 전 거래일보다 달러당 8.3원 하락한(환율 상승) 1394.7원을 기록했다.
박상현 iM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실망스러운 재정 부양책으로 위안화 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위안화 약세가 이어지면 원화값은 달러당 1400원대에 안착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도 “중국 부양책 실망감이 촉발한 위안화 약세 충격에 원화값이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