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3분기 33만6000명에서 올해 3분기 42만2000명으로 1년 만에 25.4% 증가했다. 쉬었음 인구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가 없지만 막연히 쉬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을 말한다.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에서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4분기 22.7%에서 올해 3분기 29.5%까지 불어났다. 그냥 쉰 사람 10명 중 3명이 청년층이라는 의미다. 60세 이상 고령층, 35~59세 핵심 연령층의 쉬었음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때 늘어난 이후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청년층은 올해 초부터 다시 급증하고 있다. 보고서는 “최근 늘어난 쉬었음 증가는 대부분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층”이라며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데다, 청년층 고용률도 올해 초 감소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이들이 1년 넘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서 ‘영구 백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둔 지 1년 이내인 청년층의 경우 근로희망 비율이 90% 수준이지만, 1년이 지나면 해당 수치가 50% 내외로 떨어졌다. 쉬었음 상태에서 취업에 성공할 확률(지난해 5.6%)도 실업 상태(26.4%)에 비해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청년층 쉬었음 상태가 장기화하면서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영구이탈하거나 니트족화 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래 인적 자원인 청년층을 활용하지 못해 한국 경제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일본도 경기 침체로 2000년대 초반 청년 니트족이 급증하면서 골머리를 앓았다. 1993년~2005년 거품경제 붕괴로 고용시장이 얼어붙으면서 25~34세 니트족이 1996년 대비 약 20만 명 늘었다. 경기 회복 이후에도 이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결국 핵심연령(45~54세) 니트족 증가로 이어졌다.
일본 정부는 니트족 지원 대상 연령을 기존 15~35세에서 49세 이하로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취업 지원 정책을 펴고 있다. 보고서는 “국내 청년층 쉬었음 증가는 향후 노동 공급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면서 “이들을 다시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