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6일(현지시간) 보도된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계엄 사태로 한국 경제와 금융 시장에 대한 중요한 구조 개혁이 지연될 것”이라고 인정하면서도 “트럼프 관세 정책과 중국의 경쟁 심화가 한국 수출업체에 미칠 영향과 비교했을 때 국내의 정치적 위기에 따른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최근 한국은행(한은)이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이유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중국의 경쟁 심화를 꼽았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올해와 내년 전망치를 낮춘 주요 이유였다”면서 “또 다른 하나는 중국 내외에서 중국 상품의 과잉 공급이 매우 빠르게 늘고 있다는 걸 알게 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계엄 사태가 한국 금융 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선 “오래 가지 않았고, 비교적 조용했다”고 말했다. 또 신속하고 포괄적인 예방조치로 빠르게 금융시장이 안정화됐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대통령 탄핵 소추안 표결 등으로 정국 혼란이 이어지고 있으나, 한국 경제는 2004년과 2017년 두 차례 대통령 탄핵을 잘 넘긴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번 계엄령 사태가 한국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에 편입되지 못하는 이유를 입증한다는 일부 주장도 반박했다. 이 총재는 “(한국의 개발도상국 지위가) 북한 문제나 자본 통제 때문이라고 한다면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MSCI가 ‘한국의 민주주의가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편입하지 않았다’고 설명하는 건 들어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