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일본 구마모토에서 열린 공장 준공식에서 모리스 창 TSMC 창업자기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 TSMC
10일 대만 경제일보 등에 따르면, TSMC 창업자인 93세의 모리스 창(張忠謀·장중머우) 박사는 지난 9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자서전 출간 기념식에서 삼성전자의 현 상황에 대한 질문을 받고 “(삼성은) 전략적 문제가 아니라 기술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면서 “최근 (한국의) 정치적 혼란은 회사 경영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답했다.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이나 파운드리 2나노 공정의 수율 문제 등 기술적 과제 외에도, 한국의 정치적 불안이 계속되면 삼성전자의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
널뛰는 환율에, ‘반도체 미국 투자’도 변수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주식 시세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23.93포인트(1.01%) 오른 2,384.51로 출발했다. 코스닥지수는 8.93p(1.42%) 오른 635.94에, 원달러 환율은 6.1원 내린 1,430.9원에 개장했다. 연합뉴스
하지만 미국 바이든 행정부를 거치면서 삼성전자 등은 대규모 보조금을 받는 조건으로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 미국 내 대규모 투자 중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로선 달러 값이 비싸지면 건설비는 물론 인건비·각종 설비 반입 비용이 치솟는다.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총 4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도 39억 달러를 투입해 인디애나주에 첨단 패키징 공장을 세운다. 환율이 10원만 올라도 원화로 수천억 원 규모의 지출이 추가된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들은 고정 계약으로 환율 변동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면 해외 투자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한 대기업 재무팀 관계자는 “원화 가치 하락도 걱정이지만 무엇보다 정치적 리스크 속에 환율 변동 폭이 널뛰는 게 기업들엔 최악”이라며 “이럴 때는 자금 흐름 계획을 세워도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달러당 원화 값은 전날 17원 급락(환율 상승)했다가 10일 하루 만에 전 거래일 대비 10원 뛰는 등(환율 하락) 변동 폭이 여전히 크다.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짓고 있는 반도체 공장. 로이터=연합뉴스
한 달 남은 S25 출시 어쩌나

지난 1월 17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SAP센터에서 개최된 '갤럭시 언팩 2024'에서 '갤럭시 S24 울트라'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올해 초 출시됐던 갤럭시S24 시리즈 국내 출고가는 115만원~169만원 수준(256GB 기준)이었다. 스마트폰 업계에서는 삼성이 지금의 수익성을 유지하려면 국내 출고가를 15만원 가량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삼성 스마트폰의 해외 시장 평균판매가격(ASP)이 국내보다 낮기 때문에 환율이 올라도 (삼성의 해외 판매분이 수익성에 미치는) 효과는 제한적이라 국내 가격 조정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 말했다.
가전은 물류비 고민

수출 화물을 가득 실은 컨테이너선이 부산항을 출항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