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은 3일 중앙일보의 관련 질의에 "북한군은 평시 병사·사고사의 경우에도 전사증을 발급하는 제도가 있다"며 "파병 북한군의 전사자 발생이 지속되면서 당국 차원의 대응 조치를 취하고 있을 개연성이 있어 관련 동향을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지난해 12월 30일 북한 당국이 최근 러시아에 파병한 군인들 속에서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은 채 유가족을 불러 '전사증'을 수여하며 관련 사실에 대해 발설하지 않겠다는 비밀 서약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해당 매체는 익명을 요구한 평안남도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달 18일 개천시 당위원회로부터 도당 행사에 참가하라는 통보를 받고 평성에 갔다가 특수부대에서 군 복무하던 동생의 전사증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도당 간부에게 전사증을 받으며 "조국의 명예를 걸고 성스러운 전투 훈련에 참가했다가 사망한 것"이라는 설명을 들었다고도 했다. 이날 전사증을 받은 유가족은 대부분 러시아에 파병된 것으로 알려진 북한군 특수부대인 폭풍군단 소속 대원의 가족이었다고 한다.
이와 관련, 국정원이 "전사자 발생에 대한 당국 차원의 대응 조치"를 언급한 건 해당 보도가 사실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전사증은 북한 당국이 전쟁이나 전투 훈련에 참가했다가 사망한 군인에게 전달하는 일종의 사망확인서다. 전사자 유가족은 국가로부터 우대 물자를 공급받고 간부 사업 등에서 혜택을 받는다.
또 국정원이 "북한군 전사자 발생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힌 대목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된 북한군 사망자의 규모가 이전보다 늘어났다는 점을 시사한다. 앞서 한·미 정보 당국이 확인한 북한군 사상자 규모는 사망 약 100명, 부상자 1000명 등 1100여명이었다. 상황이 이런데도 북한 당국은 러시아 파병 사실을 여전히 주민들에게 숨기고 있다고 국정원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