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유효기간 만료 다음 날인 7일 오전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내부엔 삼엄한 분위기가 흘렀다. 지난 3일 첫 번째 체포영장 집행 시도 당시엔 대형 버스 1대만이 관저 철문 뒤편을 가로막았지만, 이날 오전엔 철문 앞에 대형버스 1대 및 뒤편에 2대가 추가로 배치됐다. 전날엔 대형 버스 5대가 가로·세로로 촘촘이 벽처럼 배치되기도 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경찰 인력이 2차 저지선을 우회해서 지나갔던 산길엔 윤형 철조망이 설치돼 있었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두 번째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대테러부대인 경찰특공대 투입 등을 검토하고 있다. 국수본은 1차 체포영장 집행 당시에도 이를 검토했지만, 투입을 결정하진 않았다. 그러나 첫 번째 집행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뒤 대통령 관저를 둘러싼 경호처의 ‘철벽’은 더 단단해진 상황이다. 경호처는 1차 체포영장 집행 이후 ‘버스 산성’ 및 철조망을 추가 배치하는 등 경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경찰 출신 이지은 더불어민주당 마포갑 지역위원장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경찰 특공대 화력과 압도적 인원으로 처음부터 경호관 항거 의지를 분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수처가 전날 경찰에 체포영장 집행을 일임하려다가 다시 번복한 상황인 만큼 국수본이 이번 체포영장 집행엔 주도권을 가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수본 또한 두 번째 시도를 성사시키기 위해선 추가 인원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지난 1차 때보다 더 많은 인원을 투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당시 국수본은 수사관 120여명 및 질서·안전 등의 목적으로 기동대 2700여명을 투입했다. 국수본 관계자는 전날 브리핑을 통해 “(1차 체포 시도 당시) 필요한 인력만 투입했고, 최대 인원을 투입한 건 아니다”라고 밝혔다.
경호처가 만든 ‘인간 벽’을 뚫기 위해서도 추가 인원 투입이 불가피하단 의견이 국수본 내부에서 나온다. 당시 경호처는 자체 인력 및 군(軍)을 동원해 스크럼(여럿이 팔짱을 끼고 뭉치는 행위)을 짠 인간 벽을 세웠다. 이들 중 일부는 개인화기를 무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저 200m 앞쪽을 약 200여명이 서로 팔짱을 끼고 저지선을 구축했었다. 당시 투입된 국수본과 공수처 인원 150여명 중 단 3명만이 관저 인근에 도달할 수 있었다.
아울러 국수본은 영장 집행을 방해하는 경호처 인원에 대해 적극 체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법원이 발부한 영장 집행을 실력 저지하는 건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에 해당한다는 게 국수본 설명이다. 국수본은 지난 3일에도 경호처 수뇌부 등에 대한 체포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영장 집행 주체인 공수처가 “현장에서의 불상사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이유로 만류하면서 무산됐다.
박종준 경호처장 등 특수공무집행방해죄로 입건된 경호처 관계자들이 출석에 불응하고 있는 상황도 강제수사의 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 박 처장의 경우 지난 4일 한 차례 소환 요구에 불응한 데 이어 7일엔 “변호인 선임이 안 돼 출석이 어렵다”고 했다. 국수본은 박 처장에게 오는 10일 출석해서 조사를 받으라고 요구했다.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대해서도 같은날 오후 출석을 재차 통보했다.
한 경찰 관계자는 “경호처는 앞서 대통령실 압수수색도 2차례 막았고, 대통령 체포 영장 집행에 대비해 저지선을 미리 계획하기도 했다”며 “시간을 끌겠다는 목적과 사법 절차에 응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명확히 보이는 만큼 보다 강력한 수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서부지법은 공수처가 연장 기한을 위해 다시 청구한 체포영장 발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