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오후 건설업계는 크게 술렁였다. 이날 정오쯤 신동아건설이 회생법원을 찾았다는 소식이 퍼지면서다. 한 대형건설사 임원은 “신동아건설이 자금난을 겪는다는 소문은 파다했지만, 막상 법정관리를 신청하니 소위 ‘현타(현실 자각 타임)’가 왔다”고 말했다. 다른 건설업체 관계자는 “몇몇 중견 건설사가 유동성 위기라는 것은 업계에서 알 사람은 다 아는 얘기”라며 “지난해 태영건설발(發) 같은 4월 위기설이 재발할 것 같다”고 전했다.
"미분양 사업장 4월 위기설 진원지 될 수도"
분양 계약률이 매우 저조한 특정 지구가 4월 위기설의 진원지가 될 수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도권에 분양 계약률이 30%도 안 되는 대단지 사업장이 있다”며 “여기에 참여한 중대형 건설사들이 심각한 자금난에 빠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신동아 법정관리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문제는 신동아건설처럼 누적된 리스크에 직면한 건설업체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이규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건설 수주 감소와 부동산 시장 장기 침체, 공사비 증가에 따른 수익성 저하 등으로 건설기업 유동성 위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기업 유동성 위기 가능성 커져"
PF 불안은 여전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부실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22조9000억원으로 전체 PF의 10.9% 수준이다. 또한 비은행권의 건설업, 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각각 8.9%, 6.9%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5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았다.
익명을 원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지난 4분기 실적 발표 시즌이 다가오면 건설업체의 재무 리스크가 더욱 부각되며 신용과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생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선행지표 나빠 건설경기 부진 이어질 전망
건설업계에 위기설이 반복되는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국내 건설사의 취약한 위기 대응 능력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김태준 건정연 신성장전략연구실장은 “건설업계는 다양한 리스크에 적절한 대응을 못 했고 이에 따라 경기에 따른 극심한 경영 실적 등락을 반복했다”며 “단기적으로 불황을 받아들이고 수익 중심의 영업 전략과 원감 절감을 위한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