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보는 교외선 재개통]
일영, 장흥, 송추 등 추억의 유원지를 연결하는 ‘교외선’ 여객열차가 11일 다시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2004년 4월 1일에 이용객 감소 등을 이유로 여객열차 운행을 중단한 지 거의 21년만인데요.
앞서 교외선은 1961년 7월에 능곡~가릉 구간을 1차 개통한 데 이어 2년 뒤인 1963년 8월에 가릉~의정부 구간의 운행을 시작하면서 전 구간이 다 연결됐습니다.
이후 교외선 주변은 대학생의 단합목적여행(MT) 장소나 연인의 데이트 코스로 각광을 받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수도권순환고속도로가 개통하고, 광역전철 등이 연이어 도입되면서 이용객이 급감해 교외선은 결국 운행이 중단됐습니다.
그러다 교외선 주변 지역들을 중심으로 재개통 요구가 이어지자 2021년 8월 경기도와 고양·의정부·양주시, 국가철도공단, 코레일이 ‘교외선 운행 재개에 관한 업무협약’을 맺게 되고, 3년여 만에 마침내 재개통에 이르게 된 겁니다.
재개통 교외선, 총연장 32.1㎞
의정부역에서는 국철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대곡역에서는 서울지하철 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노선(운정중앙~서울역) 등 4개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데요. GTX-A노선은 지난해 말 개통했습니다.
교외선 재개통에는 모두 497억원이 투입됐고, 공사 기간은 약 38개월(2021년 10월~2024년 12월)이 소요됐는데요. 교외선을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았던 탓에 우선 선로 보수와 점검에 시간이 걸렸습니다.
또 노반·궤도·통신·신호 등 전반에 걸친 대대적인 개량작업도 필요했다고 하는데요. 매년 열차 운영에 따른 손실비(연간 약 45억원 추정)는 기초지자체들이 나눠서 부담할 예정입니다.
디젤기관차가 끄는 5량 1편성
운영을 맡은 코레일은 교외선이 전철 운행이 불가능한 ‘비 전철화’ 노선임을 고려해 당초 디젤동차(RDC)를 투입할 계획이었습니다. 디젤동차는 엔진이 객차 아래에 설치돼 있어 얼핏 전동차처럼 보이기도 하는 데 힘이 좋아 언덕길도 잘 오른다는 평가를 받았는데요.
하지만 디젤동차는 배기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탓에 감축 대상인 데다 정밀안전진단 결과 정비를 하더라도 사용 가능기간(잔존수명)이 2년에 불과해 투입이 어렵게 됐습니다. 잔존수명이 5년은 돼야 운행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결국 고심 끝에 주로 화물 운송에 사용하는 디젤기관차를 앞뒤로 붙여서 운행하는 방식으로 바꾸게 된 건데요. 대신 다른 열차들과 달리 과거의 추억을 되살릴 수 있도록 내부시설과 외장을 새롭게 단장했다는 게 국토교통부 설명입니다.
국토부와 코레일은 무궁화호 열차를 한시적으로 운행하다가 현재 신규 개발 중인 수소전기동차(수소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해 달리는 친환경 동차)의 실증이 완료되면 이를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라고 합니다.
개통 초기엔 편도 4회씩만 운행
이렇게 보면 교외선 열차는 당분간 통근 열차로 제한적인 역할만 가능할 듯합니다. 예전처럼 관광 목적으로 이용하려면 낮 시간대에 운행하는 열차가 있어야 승객들이 이용하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국토부와 코레일은 개통 초기에는 하루 8회 수준으로 하되, 향후 안정화 과정을 거쳐 단계적으로 운행을 확대할 거라고 하는데요. 현재로써는 하루 20회(편도 각 10회)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