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 대출금리 반영 불충분”
현재 금융당국은 은행별로 올해 가계대출 한도를 협의하고 있는데, 지방은행의 가계대출을 더 풀어줄 경우 주요 시중은행의 한도는 그만큼 줄어든다.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경상성장률 이내에서 증가하도록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지방은행 대출 한도가 늘더라도 부동산 경기 활성화 효과는 제한적이고 지방은행의 수도권 영업만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 위원장은 은행의 대출금리 인하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기준금리가 두 차례 인하됐지만 은행의 대출금리 인하 속도를 보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분명히 있다”며 “일부 은행이 가산금리를 내리고 있는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과 점검을 해나가겠다. 기준금리가 떨어진 부분을 은행이 이제 반영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금융기관이 소득심사 없이 대출을 내주는 전세대출이나 집단대출에서도 소득 자료를 받도록 한다. 전세대출 등에 있어 소득 자료를 토대로 대출 한도를 정하진 않더라도, 내부관리 목적으론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금융당국은 은행을 통해 이 같은 자료를 확인한 뒤 향후 전세대출 DSR 적용 등 정책에 반영할 수 있다.
국책은행이 반도체에 투자할 길 열어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국내 기업의 산업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김 위원장은 “현행 저리 대출을 통해 이자를 낮출 순 있지만 결국 이자 비용이 원가 경쟁력에도 영향을 준다”며 “재정적 제약으로 보조금 지급엔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투자가 기업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주로 공장을 짓거나 생산라인을 늘리는 대규모 투자 때 산업은행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산업은행이 채권을 발행해 투자금을 조달해 정부 재정은 들어가지 않는다.
암호화폐 정책에 있어선 신중론을 유지하면서도 미국 등 해외 동향을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암호화폐 육성과 투자자 보호, 두 부분에서 균형점을 찾아가는 데 대한 고민이 있다. 현재로는 투자자 보호에 관심을 가지는 입장”이라면서도 “미국의 정책 변화와 이에 따른 다른 국가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지켜보면서 제도화하는 부분에 있어 조금은 보폭을 빠르게 갈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