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로보틱스 지분 51% 확보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된 인공지능(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이다.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인텔·구글 등에서 근무한 하정우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했다. 로봇 소프트웨어(SW) 플랫폼 구축을 비롯해 다수 로봇을 최적화한 경로로 움직이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관제 솔루션 등에서 기술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LG전자는 지난해 3월 6000만 달러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했고, 당시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콜옵션 행사가 완료되면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 경영권을 확보하게 된다.
이번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는 앞으로 LG전자가 상업용 AI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LG전자의 AI 로봇 개발은 크게 상업용과 가정용, 산업용 3가지인데 현재 주력은 상업용 로봇이다. 2017년 인천국제공항 안내 로봇이었던 ‘클로이 로봇’을 처음 선보인 뒤 청소·서빙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LG전자는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할 예정이다. 베어로보틱스 사업의 연속성을 위해 창업자인 하정우 CEO를 포함해 주요 경영진은 유임한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번 추가 투자는 ‘명확한 미래’인 로봇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LG전자의 확고한 의지에 따른 것”이라며 “상업용∙산업용∙가정용 등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LG,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목표
양사 모두 지향점은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이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는 지난 2023년 약 24억3000만 달러(약 3조5000억원)에서 연평균 45% 성장률을 기록해 2032년에는 660억 달러(약 95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다만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하면 국내 기업들의 기술 개발 속도는 다소 뒤처져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의 개발 및 업그레이드 과정을 꾸준히 공개해온 미국 테슬라는 올해 말까지 이 로봇을 전기차 제조 공장에 배치하고 내년부터는 대량 생산할 계획이다. 중국의 유니트리는 43개의 관절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가사용 휴머노이드 로봇 'G1'을 지난해 출시했다.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는 “글로벌 기업들이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건 '산업 역군'으로서의 역할이다. 산업용 로봇 시장이 커지는 만큼 국내 기업들이 빠르게 이 흐름에 올라 탈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