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0일 서울 금융감독원에서 2025년 업무계획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0/d24fbfbc-0b04-4ddd-9dd9-b22f31700a27.jpg)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0일 서울 금융감독원에서 2025년 업무계획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이 원장은 서울 여의도 금감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업무계획 기자간담회’에서 “우리금융과 관련해선 소비자 보호나 리스크 관리 등에 대해 엄정한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부당대출 의혹이 불거진 만큼 원칙에 따라 경영실태평가 등급 재산정과 제재 절차를 밟겠다는 뜻이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 보험사 인수에 대해선 제재 절차와 별도로 추가 논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긴밀하게 해당 금융사와 소통하고, 금융위 실무진은 물론 금융위원장과도 긴밀하게 소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금감원이 우리금융 부당대출 의혹을 문제 삼아 보험사 인수까지 ‘태클’을 거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자 해명성 발언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원칙을 견지하는 것(부당대출 제재)과 현실적인 어떤 결론(보험사 인수 심사)을 내는 건 충분히 양립할 수 있다”면서 “소통을 원활히 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다 충분히 분석한 이후에 진정한 의미의 원칙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 4일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 결과’ 브리핑에서 우리금융의 2300억원대 부당대출을 적발했다고 발표했다. 당시 이 원장은 “부실한 내부통제나 불건전한 조직 문화에 상 줄 생각이 없다”면서 “(우리금융) 제재 절차와는 별도로 분리해 경영실태평가 결과를 (이달 중) 도출하려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이에 대해 금감원이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낮춰, 동양·ABL생명 인수에 제동을 걸겠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다만 이 원장이 우리금융 부당대출 제재를 넘어 금융위가 최종 결정권이 있는 보험사 인수에도 영향을 미칠 의사를 내비치자, 금융위와 충분한 논의 과정이 없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날 이 원장은 우리금융에 대한 ‘표적 검사’를 진행한다는 비판을 의식한 발언도 했다. 이 원장은 “상대 금융사(우리금융)를 백안시하거나 척결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발목을 잡으면 안 된다고 생각해서 장애 요소가 크지 않은 증권사 본인가라도 조금 더 원활히 진행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원장은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3년 연임 추진과 관련해서 “기술적으로 특별히 어긋난 것은 없다”며 “우리가 ‘3년이 맞다’, ‘2년이 맞다’ 평가할 부분은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