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 참석한 모습이다. EPA](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1/e9338569-be9e-4c88-a298-62aa74782255.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 참석한 모습이다. EPA
SK하이닉스 북미 매출, 1년새 3배
![박경민 기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1/a2dda497-0038-4bbc-8866-4c175a5888dd.jpg)
박경민 기자
이 기간 삼성전자의 미주 매출(가전·반도체 포함)도 84조6771억원으로, 전년 동기(68조2784억원)보다 24%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미주 비중은 37.6%로 1.9p 늘었다. 아시아 및 아프리카(16.8%), 유럽(16.6%), 중국(15.4%) 비중보다 월등히 높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전체 D램의 40%를 중국 우시 공장에서 제조하는데, 이는 현재 한국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된다. 반도체는 세계무역기구(WTO)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무관세 적용이 원칙이지만, 2017년 미·중 무역 전쟁 이후 양국은 반도체에 상계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산 반도체 칩을 한국으로 들여와 재가공후 미국으로 수출해 왔다. 그런데 미국이 한국산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하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WTO 무역협정을 무력화한 트럼프의 관세 카드에 반도체 업계는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인 대만 TSMC는 지난 10일부터 이틀간 미국 애리조나주 공장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미국 내 생산 용량을 늘리는 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애플의 아이폰과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 수요 증가분을 독점하다시피하는 TSMC는 매출의 70%를 미국에서 올린다.
반도체 가격 오르는데 ‘관세 카드’ 꺼낸 진짜 이유
그러나 상황을 낙관하기는 어렵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카드를 반도체에도 들이대는 배경엔 무역 균형보다도 첨단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 내에 확보하려는 목적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아시아의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 반도체 공장을 더 짓도록 유도하면 투자 유치 효과가 있고, 첨단 칩 공급망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려는 목적이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컨설팅기업 딜로이트는 최신 보고서에선전 세계 D램 메모리의 약 75%가 한국에서 생산되고 있는 점을 지목하며, 한국의 계엄 사태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추가적인 위험 요소 중 하나로 꼽았다.
관세 전쟁 후폭풍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파괴적 영향이 있겠지만, 미국 국민은 이해할 것”이라 언급한 만큼 당장의 불이익을 감수하고서라도 뜻을 굽히지 않을 수 있다. 이종환 교수는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하면 트럼프 정부의 투자 요구를 마냥 피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미국 빅테크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해 국내 기업들의 사업성을 높일 전략을 함께 세워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