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광개토홀에서 열린 자립준비청년 정보 박람회 '무브온페어'에서 청년들이 서울시 자립준비전담기관 부스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오소영 기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5/9989abbb-5b7a-4885-9ffd-e0585bdfa691.jpg)
지난 8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광개토홀에서 열린 자립준비청년 정보 박람회 '무브온페어'에서 청년들이 서울시 자립준비전담기관 부스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오소영 기자
지난 8일 낮 12시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광개토홀. 20대 청년 500여명이 한 데 모여 북적였다. 이들은 각자 팸플릿을 손에 들고, 삼삼오오 모여 이곳저곳에 설치된 부스를 돌아다니고 있었다. 5~6명가량 부스 앞에 줄 서 있거나 상담사와 무언가를 열심히 얘기하는 모습이 보였다.
이날 열린 행사는 아동양육·보호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지내다가 만 19세 이상 성인이 돼 자립에 나선 청년(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박람회다. 박람회에서 만난 김모(25)씨는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물품 지원이나 직장인 대상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었는데, 인터넷을 아무리 찾아보거나 전화 상담만으론 역부족이었다”고 말했다. 시설에서 나와 광주에서 직장 생활을 하는 송모(21)씨도 “직장에 다니고 있는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정보가 부족해 박람회에라도 와야겠다 싶었다”고 했다.
자립준비청년들은 성인이 돼 시설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될 경우 오롯이 스스로 홀로서기에 나서야 한다. 그러나 이날 행사에 온 청년들은 모두 ‘정보 부족’을 호소하고 있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지자체) 등에서 각종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가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8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광개토홀에서 열린 자립준비청년 정보 박람회 '무브온페어'에서 청년들이 LH주거정보 안내부스에 줄지어 있다. 오소영 기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5/d812a7eb-15ef-44a4-95d7-38315c134bfc.jpg)
지난 8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광개토홀에서 열린 자립준비청년 정보 박람회 '무브온페어'에서 청년들이 LH주거정보 안내부스에 줄지어 있다. 오소영 기자
아동권리보장원과 보건복지부는 지난 2023년 4월부터 자립준비청년 전용 상담센터 및 온라인 상담 ‘자립정보ON’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청년들은 사실상 무용지물이라고 입을 모았다. 강모(25)씨는 “취업 문제로 전화 상담을 해 봤었는데 ‘요건이 안 된다’는 얘기만 듣다가 정작 필요한 취업 정보는 알아보지도 못했다”며 “나와 형편이 같은 지인을 통해서 겨우 알 수 있었다”고 답답해했다.
보건복지부가 2023년 9~11월 전국 자립준비청년 약 1만명 중 50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거주지 문제(26.9%) 및 생활비 등 돈 부족(23.2%)에 이어 취업 정보·자격 부족(17.9%)을 어려움으로 꼽았다. 주거 상담(11.8%)이나 취업 상담(15.5%)에서도 정보를 얻기 어렵다고 답변했다. 개개인 각자마다 필요한 정보를 제때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자립준비청년 대상 일대일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을 맡은 조진영 서울시 자립준비지원전담기관 자립협력팀장도 “자립준비청년 대상 제도는 많이 마련돼 있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자신에게 맞는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워한다”고 말했다.
![지난 8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광개토홀에서 열린 자립준비청년 정보 박람회 '무브온페어'에서 이성남 한국고아사랑협회 대표가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삶의 태도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오소영 기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5/2606a6a6-edaa-4d9b-ba12-9b3995b35732.jpg)
지난 8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광개토홀에서 열린 자립준비청년 정보 박람회 '무브온페어'에서 이성남 한국고아사랑협회 대표가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삶의 태도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오소영 기자.
전문가들은 자립준비청년들이 겪고 있는 이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선 보호 기간 중 미리 관련 제도를 교육하고, 보호 기간 종료 후에도 꾸준히 정보를 알려주고 관리해 줄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고용노동부·보건복지부는 2023년 12월부터 자립준비청년과 국민취업 지원 제도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지원에 나섰지만 지난해 12월 기준 누적 359명만이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고금란 아동권리보장원 부원장은 “시설은 보호 종료 전부터 청년들에게 어떤 지원 제도가 있는지 꾸준하게 교육할 필요가 있고, 관계기관과 청년들이 긴밀하게 소통을 나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권윤환 고아권익연대 대표 또한 “청년들과 담당자들이 서로 끈끈한 관계를 맺어 정보 나눔 등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도 관계기관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