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산불 진화 난항…96%→76% 후퇴, 약한 빗속 엿새째 '활활'

울주 산불 대피소인 온양읍행정복지센터 강당. 김윤호 기자

울주 산불 대피소인 온양읍행정복지센터 강당. 김윤호 기자

울산 울주군 대운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엿새째 이어지며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7일 오전부터 내린 약한 비에도 불길은 잡히지 않고 있으며, 바람에 잔불이 되살아나는데 따른 불길 확산 우려가 여전하다.

산림당국에 따르면 지난 25일 한때 98%까지 올랐던 진화율이 27일 오전 5시 기준 76%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피해 면적은 886㏊로 확대됐다. 총 화선은 20㎞에 달한다. 현재까지 4.8㎞ 구간에서 불길이 잡히지 않은 상황이다. 

약한비 간헐적, 흐린날씨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산불 닷새째인 26일 불길이 한 마을 민가 근처로 접근하자 소방대원들이 물을 뿌리고 있다. 연합뉴스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산불 닷새째인 26일 불길이 한 마을 민가 근처로 접근하자 소방대원들이 물을 뿌리고 있다. 연합뉴스

산림당국은 흐린 날씨 속에서 비가 간헐적으로 내리는 점을 활용해 27일 오후까지 주불 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방관·군인·경찰· 공무원 등 1400여명의 진화 인력을 투입했다. 또 산불진화차 76대와 각종 장비를 동원, 불길을 잡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울주군 대운산 일원에 예보된 강수량은 5~10㎜로 많지 않아 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지는 미지수다. 또 비가 내릴 경우 헬기 투입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비가 진화에 도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고 헬기 운용에도 제약이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산림당국은 대운산에 위치한 신라시대 고찰 내원암을 보호하기 위해 사찰 주변에 방화선을 구축하고 집중적인 방어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군부대와 산불진화차 4대, 300여 명의 인력을 보내 불길이 사찰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대응하고 있다. 내원암에는 울산시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400년이 넘는 팽나무가 있다. 


대피 주민들 "비 많이 와서 불 꺼주길"  

27일 오전 5시 울주 산불 상황. 사진 울산시

27일 오전 5시 울주 산불 상황. 사진 울산시

대운산 아래 6개 마을 주민 328명은 안전을 위해 친척 집이나 온양읍 행정복지센터 강당 등으로 대피한 상태다. 주민들은 하루빨리 불이 진화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한 70대 주민은 "아침부터 하늘만 바라보고 있다"며 "비가 많이 내려 불길이 완전히 잡히기를 기도하고 있다"고 전했다.